Page 69 - ele_science_5-1_teacher
P. 69
행성, 별, 별자리
행성과 별
•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 5 빛 을/를 반사하며, 별은
스스로 6 빛 을/를 냄.
• 밤하늘에서 관측상의 차이점: 여러 날 동안 밤하늘을 관측하면 별 사이에서
7 ( 위치가 고정된, 움직이는 ) 행성을 볼 수 있음.
별자리: 무리 지어 있는 별을 연결해 이름 붙인 것
•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
붙임딱지 붙임딱지 붙임딱지
붙이는 곳 붙이는 곳 붙이는 곳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태양계와 별 풀이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 빛을 반사하는 행성과 달리 별은 스스로 빛을 낸다.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같은 밤하늘을 관측하면 행성은 별 사이에서 움직인다.
별자리를 이용해 북극성과 방향 찾기
별자리를 이용해 북극성을 찾는 방법: 8 카시오페이아자리 (이)나 북두칠성을
이용함.
평가 피드백
학습한 내용을 생각하며 ‘스 북극성을 이용해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까닭: 북극성은 항상 정확한 9 북쪽
스로 평가해요’에 색칠하는
과정에서 아쉬운 부분은 해 에 있기 때문에 북극성을 찾으면 방향을 찾을 수 있음.
당 쪽으로 돌아가 부족한 부 풀이 카시오페이아자리나 북두칠성을 이용하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북극성은 항상 정확한 북쪽에 있으므로 북
분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극성을 찾으면 방향을 찾을 수 있다.
평가 해요
『과학』 점검하기
태양이 지구에서 이용되는 거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라는 것을 설명
50 쪽 ~ 51 쪽
할 수 있나요?
태양계를 구성하는 태양과 행성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나요? 52 쪽 ~ 57 쪽
별의 의미를 알고 북쪽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를 설명할 수 있나요? 58 쪽 ~ 63 쪽
북쪽 하늘 별자리를 이용해 북극성을 찾고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을
64 쪽 ~ 65 쪽
설명할 수 있나요?
각
생 그물 을 완성하고, 『실험 관찰』 32 쪽 ~ 33 쪽의 ‘문제로 확인하기’를 풀며 실력을 키워 봅시다.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