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7 - ele_science_5-1_tutor
P. 297

➌ 세균의 특징 설명하기                                     형성  평가
                 •  세균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1   다음은 세균을 관찰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에 대한 설
                   -   균류나 원생생물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고 생김새
                                                                    명입니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관찰 도구를
                     가 단순합니다.
                                                                    써 봅시다.
                   -   공 모양, 막대 모양, 나선 모양 등이 있고, 꼬리가
                     있는 세균도 있습니다.                                      세균은 맨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             )을/를
                   -   하나씩 떨어져 있기도 하고 여러 개가 연결되어                      사용하여 관찰해야 볼 수 있다.
                     있기도 합니다.
                   -   살기에 알맞은 환경이 되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   현미경     )
                     수로 늘어납니다.                                       풀이  세균은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살고 있지만, 크기가 매우 작
                 •  세균은 어디에 살고 있나요?                                 아 배율이 높은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볼 수 있다.
                   -   흙, 물, 다른 생물의 몸 등 다양한 곳에서 삽니다.
                   -   가방, 손잡이, 필통 등 우리가 사용하는 물체에도                2  다음은 세균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된 세균의
                     삽니다.                                           특징을 두 가지 설명해 봅시다.

                    교과서 그림 설명                        『과학』 107 쪽
                                                                      • 세균은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5
                    세균의 다양한 생김새                                       •세균은 공 모양, 막대 모양, 나선 모양 등이 있다.               단원
                     여러 개가 뭉쳐 있는 공
                     모양의 포도상 구균              막대 모양의 대장균
                                                                     예시 답안  크기가 매우 작다. 생김새가 단순하다. 모양이 다양하다.
                         공 모양 세균(4608`배)  막대 모양 세균(3273`배)           풀이  세균은 균류나 원생생물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아 맨눈으로
                                                                    보기 어렵고 생김새가 단순하며 공 모양, 막대 모양, 나선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꼬리가 있는 세균(11200`배)
                         나선 모양 세균(4457`배)                                         채점 기준                배점(%)
                                                                      제시된 내용과 관련된 세균의 특징을 두 가지
                                                                                                        100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제시된 내용과 관련된 세균의 특징을 한 가지
                       나선 모양으로 생긴       나선 모양으로 꼬리가 있는                                                   50
                                                                      만 옳게 설명한 경우
                       매독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참고  자료
                  정리
                                                                  대변 분석을 통한 장속 세균 검사
                        확인 해요                                       사람의 장속에는 다양한 세균이 살고 있다. 이 세균

                 1   세균은 균류나 원생생물에 비해 크기가 매우 ( 작고,                들이 생산하는 대사 물질이 우리 몸에 여러 가지 영향을
                   크고 ), 생김새가 ( 단순, 복잡 )합니다.                      미치기도 한다.
                 2  의사소통 능력  다양한 세균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이야                   대변을 분석하면 장에 살고 있는 세균이 무엇인지, 그
                   기해 봅시다.                                        리고 그 세균이 유익한지 유해한지 등을 알 수 있다. 또,
                    지도 방향  세균의 특징을 떠올려 보도록 지도한다.                  대변 속 세균의 종류와 양 등을 분석하면 현재의 건강
                    예시 답안  크기가 매우 작고 생김새가 단순하며, 우리 주변 어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질병에 걸릴 위험성도 예측할
                   에서나 산다.                                        수 있다. 따라서 대변 분석을 통한 장속 세균 검사는 질
                    풀이  세균은 크기가 매우 작고 생김새가 단순하며 살기에 알맞            병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고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은 환경이 되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수로 늘어난다.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295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