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7 - ele_science_5-2_tutor
P. 307
수업 흐름
- 산성 용액인 식초로 생선 비린내가 나는 도마를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닦아 비린내를 없앱니다.
도입
5 염기성 용액을 어떻게 이용할까요 - 산성 용액인 변기용 세제로 화장실 변기의 때와
생선에 레몬즙을 뿌리는 까닭 생각해 보기
냄새를 없앱니다.
• 생선에 레몬즙을 뿌려 먹어 본 생선 비린내는 나한테 맡겨.
내가 해결할게! - 염기성 용액인 하수구 세척액으로 막힌 하수구를
경험이 있나요? 생선에 레몬
우리는 생선에 레몬즙을 뿌려 먹기도 합니다.
뚫습니다.
산성 용액인 레몬즙을 뿌리면 생선 비린내가
즙을 뿌리는 까닭을 이야기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우리 생활에서 산성 - 염기성 용액인 차량용 이물질 제거제로 자동차에
봅시다.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찾아봅시다. 묻은 새 배설물이나 벌레 자국을 닦습니다.
- 레몬즙을 뿌리면 상큼한 향이
- 염기성 용액인 표백제로 욕실의 때를 닦아 없앱니다.
의사소통 나기 때문에 뿌립니다.
『실험 관찰』 53 쪽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 레몬즙을 뿌리면 생선 비린내가 줄어들기 때문에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 조사하기
뿌립니다.
준비물 스마트 기기, 산과 염기를 다룬 책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수업 도우미 수업 도입을 위한 방법
어떻게 할까요 • 과학적 탐구 능력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을 이용하
생선에 레몬즙을 뿌리는 까닭을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게 한다. 제
시된 상황 이외에도 학생들이 경험해 봤을 만한 상황을 활용해 관
1 모둠별로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해 는 예,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 산성 용액과
봅시다. 염기성 용액을 섞어 성질을 약하게 하여 이용하는
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2 1 에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여 발표해 봅시다. 예 등을 찾게 한다. 5
하수구 세척액이
산성 용액인지 염기성 단원
하수구가 막혔을 때 • 과학적 문제 해결력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우리 생활에서 이용하는 세척액은 용액인지 조사해 보자.
어떤 산성 용액과 어떤 성질이 있는
염기성 용액을 용액일까? 용액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찾게 한다.
이용할까?
전개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찾아 발표하게 한다.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 조사하기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 조사하기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발표 평가)
‣ 구성 의도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용하는 다양한 예를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106 ‣ 탐구 목표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
예를 조사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했
용하는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는가?
‣ 탐구 유의 사항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방법을 먼저 안
초등과학5-2_⑤단원(93~114)OK.indd 106 2022-04-07 오후 7:08:02 태도 조사한 내용이 정확히 전달되도록 발
내하고 스마트 기기는 자료를 찾을 때에만 이용하도록
표했는가?
지도한다.
관찰 다른 모둠의 발표 내용을 집중하여
어떻게 할까요 평가 들었는가?
1 모둠별로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이용하는 예를 조사해 봅시다. 탐구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다양하게 찾았
수업 도우미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 는가?
는 예를 조사하기 전에 이전 차시에서 학습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지식
용액을 학생들이 직접 이용해 본 경험을 이야기해 보게 할 수도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는가?
있다.
평가 피드백 조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모둠원과 협력하여 활
2 1에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여 발표해 봅시다. 실험 관찰 동을 수행하는 경우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칭찬해 꾸준히 학
- 비린내가 나는 생선에 산성 용액인 레몬즙을 뿌려 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보충 학습이 필요할 때에는 이전 차시 학
비린내를 없앱니다. 습과 연계해 보충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5. 산과 염기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