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1 - ele_science_5-2_tutor
P. 311
참고 자료 치약
음식을 먹고 나서 치
바이타민 C
아 사이에 남아 있는 음
바이타민 C 는 대
식물은 입속에 사는 세
부분의 과일과 채소
균에 의해 분해되는데,
에 들어 있다. 물에 녹
이때 산성 물질이 생성 ▲ 치약
는 수용성 바이타민이
된다. 이 산성 물질은 치아의 표면을 상하게 하고, 충치
며, 물에 녹으면 산성
가 생기게 한다. 치약에는 염기성 물질이 들어 있어 입
▲ 여러 가지 과일과 채소
을 띤다. 바이타민 C
속의 산성 물질을 중화하므로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는 우리 몸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우리 몸의 결합 조
있다.
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은
바이타민 C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제산제
통해 섭취해야 한다. 바이타민 C가 결핍되면 잇몸이나 우리 몸의 위에서 분
피부에서 피가 나는 괴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비되는 위액에는 소량
바이타민 C는 괴혈병을 회복시킨다는 의미로 아스코르 의 염산이 들어 있고,
브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액은 산성을 띤다.
▲ 제산제 5
위액 속 염산은 소화 단원
효소의 작용을 돕고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이는 살균
작용을 한다. 위액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속이 쓰릴 때
에는 제산제를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제산제에는 수산
아스피린
화 마그네슘, 탄산수소 나트륨 등의 염기성 물질이 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판매되는
어 있어 위산과 중화 반응이 일어나 속이 쓰린 증상이
의약품인 아스피린은 아세틸살리
완화된다.
실산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이름이
다. 아스피린은 살리실산이라는 제빵 가루
물질에서 유래되었다. 사람들은 제빵 가루는 빵이나 과자를 만들
오래전부터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 때 밀가루 반죽을 부풀리기 위해 넣
출한 살리실산을 해열제나 진통제 는 물질로, 입자가 고운 흰색 가루
로 이용하였는데, 위를 심하게 자 ▲ 아스피린 이다. 제빵 가루는 염기성 물질인 탄 제빵 가루
극해 출혈과 위장 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었다. 산수소 나트륨과 탄산수소 나트륨을
그래서 이러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약을 연구하던 중화하기 위한 산성 물질 등으로 이 ▲ 제빵 가루
중 호프만(Hoffmann, F., 1868 ̄1946)이 버드나무 루어져 있다. 탄산수소 나트륨과 산성 물질이 반응하면
껍질에서 추출한 살리실산을 아세트산과 반응하게 하 이산화 탄소 기체가 생성되고, 여기에 열을 가하면 이
여 아세틸살리실산을 합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아스피 산화 탄소 기체가 팽창하면서 밀가루 반죽이 부풀어 오
린이다. 아스피린은 최초로 합성한 의약품이라는 데 의 른다. 제빵 가루처럼 팽창제로 쓰이는 제빵 소다는 산성
미가 있다. 아스피린 이전의 의약품은 천연 약재를 이 물질이 없이 대부분 탄산수소 나트륨으로만 이루어져
용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화학적으로 합성이 가능하더 있다. 탄산수소 나트륨이 열분해된 뒤에는 탄산 나트륨
라도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약으 이 생성되는데, 이 때문에 밀가루가 변색되고 쓴맛이 난
로 널리 이용되지 못했다. 그러나 아스피린이 개발되고 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여 만든 제빵 가루는 산성
의약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여러 가지 의약 물질이 혼합되어 있어 제빵 시 색이 선명하고 쓴맛이 나
품을 화학적으로 합성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 않는다.
5. 산과 염기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