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ele_science_6-1_teacher
P. 85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
                  •  [과학적 탐구 능력] 식물의 씨가 어떻게 퍼질지 예상하고, 조사 활동으로 확인한 후 이를 설명하게 한다.           •  [태도] 씨가 퍼지는 방법을 조사할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예상 및 조사 활동 결과에 기초하여 씨가 퍼지는 다양한 방법을 이야기하게 한다.            때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  [탐구] 식물의 씨가 어떻게 퍼질지
                   열매의 생김새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합니다. 열매는 씨를 보호                                    예상하고, 조사 활동으로 확인한 후
                                                                                           씨가 퍼지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했
                 하고 씨를 멀리 퍼뜨리는 일을 합니다. 우리가 먹는 사과 열매는 씨와                                    는가?
                                                                                          •  [지식] 열매의 생김새와 씨가 퍼지
                 껍질 사이에 양분이 저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씨를 보호하는 부분입니다.                                   는 방법을 설명했는가?



                      사과 열매와 씨

                                                                                          보충   열매의 구조에 따른 구분
                                                                                          • 참열매: 씨방이 자라서 된 열매
                                                                                            예  감, 호박, 복숭아
                                                                                          • 헛열매: 씨방 이외의 부분이 함께
                                                                                           자라거나 씨방 이외의 부분만이
                                                                        껍질                 자라서 된 열매  예  배, 사과, 딸기






                                                            씨






                                 사과 열매는 꽃받침과 꽃받기가
                                 함께 자라서 된 열매이다.

                   식물은 씨를 퍼뜨려서 자손을 남겨 생명을 이어 나갑니다. 식물이
                                                                                          보충   식물이 씨를 퍼뜨리는 까닭
                 씨를 퍼뜨리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만약 씨가 어미 식물 아래에만 떨어
                                                                                          진다면 한정된 땅에서 어미 식물과
                   도꼬마리는 열매 끝이 갈고리 모양이어서 열매가 동물의 털이나                                      경쟁해야 한다. 어미 식물의 뿌리는
                                                                                          씨가 뿌리를 내리기 어렵게 하고, 새
                 사람의 옷에 붙어서 씨가 퍼지고, 단풍나무는 열매에 날개가 있어서                                     로 싹 튼 식물은 어미 식물의 그늘에
                                                                                          가려 햇빛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될
                 돌면서 멀리 날아가 씨가 퍼집니다. 봉선화는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수 있는 대로 어미 식물로부터 씨를
                                                                                          멀리 퍼뜨려 새로운 곳에서 살아갈
                 씨가 튕겨 나가 퍼지고, 산수유는 열매가 동물에게 먹힌 뒤 동물의
                                                                                          영역을 만들고 자손이 생존하여 종
                                                                                          족이 유지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배설물을 통해 씨가 퍼집니다. 또, 민들레는 가벼운 솜털이 있어서
                 바람에 날려 씨가 퍼집니다.



                                                                                                      개념 영상


                            확인 해요


                    1   식물은 (     씨    )을/를 퍼뜨려서 자손을 남겨 생명을 이어 나갑니다.


                    2   의사소통 능력  열매나 씨의 생김새와 씨가 퍼지는 방법은 어떤 관련이 있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지도 방향] 식물이 씨를 퍼뜨리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예시 답안  열매나 씨의 생김새는 씨가 퍼지는 방법에 따라 씨를 멀리 퍼뜨리기에 유리한 구조로 생겼다.
                        풀이  식물의 열매나 씨의 생김새는 씨를 멀리 퍼뜨리기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꼬마리는 열매 끝이 갈고리 모양이어서 동물의
                       털이나 사람의 옷에 붙기에 좋고, 단풍나무는 열매에 날개가 있어 돌면서 멀리 날아가기에 좋다. 또, 봉선화는 탄력이 있는 열매껍질이               85
                       터지면서 씨가 튕겨 나갈 수 있고, 민들레는 가벼운 솜털이 있어 바람에 잘 날릴 수 있다.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