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8 - ele_science_6-2_teacher
P. 118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만드는 생물






              활용 방법                  전기뱀장어는 몸의 옆쪽에 있는 발전 기관에서 전기 에너지를 만듭
            • 생물에서 화학 에너지가 빛에너
              지, 전기 에너지 등 다양한 형태   니다. 이때 전기뱀장어가 만든 전기 에너지는 발광 다이오드[LED]등
              로 전환된다는 것으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다양한 형태의      수십 개를 켤 수 있습니다.
              에너지 전환에 대해 생각해 보
              게 한다.                  빛에너지를 만드는 생물도 있습니다. 초롱아귀는 빛이 들어오지 않을 정
            • 에너지의 관점에서 생명 현상을
              바라보고 생물이 다양한 형태로     도로 아주 깊은 바닷속에 사는 물고기입니다. 암컷 초롱아귀는 머리 앞쪽에
              에너지를 전환하는 것이 살아가
              는 데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보    있는 긴 돌기에서 빛을 내고, 이 빛으로 수컷이나 먹이를 꾀어냅니다.
              면서 과학적 사고력을 기르게
              한다.                                바다에 사는 원생생물인 야광충은 파도가 치면 빛을 내

                                               는데, 밤에 파도의 꼭대기가 푸른빛으로 빛나는 것은 야광충

                                               때문입니다.









                         야광충


















                                                                               초롱아귀
                                               전기뱀장어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  [과학적 사고력] 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것을 통
                                                              해 에너지 전환이 생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생각해 보게 한다.
                                                             •  [과학적 탐구 능력]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생물의 예를 조
                                                              사해 에너지의 관점에서 생명 현상을 이해하게 한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가진 생물에 대해 이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야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자신감 있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
                                                              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는 태도를 기르게 한다.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생물의 예를 조사하고, 에너지를 전환하는 것이 생물이 살아가는 데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이야기해 봅시다.

                      [지도 방향] 에너지를 전환하는 것이 생물이 살아가는 데 미치는 영향을 타당하게 설명하면 의견을 수용하고,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예시 답안  •전기뱀장어: 전기를 이용해 주위에 먹이가 있는지 탐지하고 전기 충격으로 먹잇감을 기절시켜 잡는다.
           118          • 반딧불이: 배 부분에서 루시페린이 산소와 반응해 빛을 내고, 이 빛으로 짝을 찾아 짝짓기를 한다.
                      • 야광나무: 밤이 되어도 꽃에서 빛이 나므로 꽃가루받이를 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