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ele_science_6-2_teacher
P. 13
지도상의 유의점
• 전지와 전구는 동일한 것으로 준비하며, 사전 실험을 통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전기 부품을 다룰 때에는 반드시 면장갑을 끼게 안내하여 전기를 주의해서 다루는 습관을 갖게 한다.
2 1 에서 예상한 대로 불이 켜지는지 전지, 전선, 전구를 연결해서 확인해 봅시다.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
• [태도] 면장갑을 끼고, 전구가 깨
3 1 ~ 4 중에서 전구에 불이 켜진 것의 공통점을 이야기해 봅시다. 지지 않게 주의했는가?
• [탐구] 그림과 일치하게 전기 회
로를 직접 연결했는가?
• [지식] 전지, 전선, 전구를 어떻게
정리해 볼까요 연결하면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설명했는가?
전지, 전선, 전구를 어떻게 연결해야 전구에 불을 켤 수 있나요?
예시 답안 •전기 부품에서 전기가 잘 통하는 부분끼리 연결해야 한다.
보충 도체와 부도체
•전구와 전선을 전지의 (+)극과 (-)극에 중간에 끊긴 곳이 없게 연결해야 한다.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배열
된 원자 사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전지, 전선, 전구와 같은 전기 부품을 연결해 전기가 흐르게 만든 것을 수 있는 전자인 자유 전자를 많이
가진 물질을 도체라고 한다. 도체에
전기 회로라고 합니다. 전기 회로의 전구에 불을 켜려면 전기 부품에서 서는 전류가 잘 흐르며, 대부분의
금속은 도체에 해당한다. 한편 자유
전기가 잘 통하는 부분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구와 전선을 전지의
전자가 거의 없는 물질을 부도체라
고 한다. 부도체에서는 전류가 잘
(+)극과 (-)극에 중간에 끊긴 곳이 없게 연결해야 합니다.
흐르지 않으며, 종이, 고무, 나무 등
과 같은 물질은 부도체에 해당한다.
손으로 잡는 부분은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고무나 비닐로 전기가 잘
만든다. 통하지 않는 부분
전기가 잘
통하는 부분
전선의 집게 부분은
전기가 잘 흐르도록 집게 달린 전선에서 집게 부분은 전기가
금속으로 만든다. 잘 통하는 금속으로 만들고, 손으로 잡는 부분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고무나 비닐로 만들어요.
전구에 불이 켜진 전기 회로
개념 영상
확인 해요
1 전기 부품을 연결해 전기가 흐르게 만든 것을 ( 전기 회로 )(이)라고
합니다.
2 문제 해결력 오른쪽 전구에 불을 켜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설명해 봅시다.
[지도 방향]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부분을 찾고, 전구에 불을 켤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한다.
예시 답안 집게 달린 전선으로 전지의 (-)극과 전구 끼우개의 남은 한쪽을 연결한다. 13
풀이 전구가 전지의 (+)극에만 연결되어 회로의 중간이 끊겨 있기 때문에 전구에 불이 켜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