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 ele_science_6-2_teacher
P. 61

3    성냥의 머리 부분과 나무 부분을 자른 뒤, 각각을 철판의 가운
                                                                              성냥의                 성냥의
                    데로부터 같은 거리에 놓습니다.
                                                                             머리 부분               나무 부분
                          성냥의 머리 부분과 나무 부분을 같은 크기로 잘라요.

                 4    성냥의 머리 부분과 나무 부분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타는지

                    예상해 봅시다.

                 5    알코올램프로 철판의 가운데를 가열하면서 성냥의 머리 부분
                    과 나무 부분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타는지 관찰해 봅시다.



                 정리해 볼까요                                                                    활동 결과

                      2 와 5 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요?               성냥의 나무 부분은 오랜 시간 가열해야
                                                                 불이 붙어 타거나, 불이 붙지 않고 색깔만
                  예시 답안  •물질에 직접 불을 붙이지 않아도 물질을 태울 수 있다.
                                                                 검은색으로 변할 수도 있다.
                 •물질이 타는 온도는 물질마다 다르다.
                   물질에 직접 불을 붙이지 않아도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면 물질이 탑

                 니다. 이처럼 물질이 불에 직접 닿지 않아도 타기 시작하는 온도를 그
                                                                            보충  불을 직접 붙이지 않아도 물질이 타는 예
                 물질의 발화점이라고 합니다. 발화점은 물질마다 다릅니다.
                                                                            성냥의 머리 부분을 성냥갑에 마찰하면 성냥의 머리 부분에
                   성냥이나 나무가 타는 것과 같이                                        불이 붙는 것, 볼록 렌즈로 햇빛을 모아 물질을 태우는 것,
                                                                            쇳조각과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는 것 등이 있다.
                 물질이 산소와 빠르게 반응하면서                                                          발화점 이상의 온도
                                                                공기 중 산소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을 연소라고 합
                 니다. 연소가 일어나려면 탈 물질과

                 산소가 있어야 하고, 발화점 이상의
                                                                    탈 물질
                 온도가 되어야 합니다.

                  보충   연소의 세 가지 조건
                  • 불에 탈 수 있는 물질에는 고체 연료(나무, 초 등), 액체 연료(휘발유,
                    알코올 등), 기체 연료(천연가스, 뷰테인 등)가 있다.
                                                                              연소의 세 가지 조건
                  • 산소는 공기의 약 21`%를 차지하므로 공기는 연소 시 산소의 공급
                    원이다. 일반적으로 산소의 비율이 높을수록 연소가 잘 일어나고,                                               개념 영상
                    산소의 비율이 15`% 이하일 때는 연소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 탈 물질의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연소가 일어난다.
                            확인 해요


                    1   물질이 산소와 빠르게 반응하면서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을 (                    연소   )(이)라고 합니다.
                        풀이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며 타는 것을 연소라고 한다.
                    2   사고력  프라이팬으로 요리를 하다가 기름에 불을 붙이지 않았는데 기름에 불이 붙었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설명해 봅시다.

                       [지도 방향]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기름에 불이 붙은 까닭을 생각하게 한다.
                        예시 답안  기름에 직접 불을 붙이지 않았지만 기름이 뜨거워져 기름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풀이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요리를 할 때 탈 물질인 기름이 있고, 공기 중에서 산소가 공급된다. 따라서 프라이팬을 가열해 기름의             61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기름에 불이 붙는다.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