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ele_science_6-2_teacher
P. 58
수업 PPT 학습 목표
DVD
3~4 학습 지도안 • 탐구를 통해 연소의 조건을 찾을 수 있다.
• 물질이 연소할 때 필요한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2 물질이 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10 차시
수업 흐름
도입 숯에 불을 붙일 때 부
채질을 하면 불이 잘 붙는 까닭
이야기하기 수업 도우미
불을 피워야 하는 다양한 상황을 떠올려 불을 붙일
전개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 [탐구] 물질이 탈 때 필요한
불을 살려야겠다!
조건 알아보기 고기를 구우려고 나무나 숯에 불을 붙일 때 영차, 영차!
• [탐구] 불을 직접 붙이지
않고 물질 태워 보기 부채질을 하면 불이 잘 붙습니다. 불이 잘 붙는
• 발화점의 뜻 알아보기
• 연소의 뜻과 연소의 조건 까닭은 무엇일까요? 물질이 타려면 무엇이 필요
알아보기
한지 알아봅시다.
정리 ‘스스로 확인해요’ 정리
하기 실험 영상
관찰, 변인 통제, 결론 도출 『실험 관찰』 25 쪽 ~26 쪽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물질이 탈 때 필요한 조건 알아보기
안전 준비물 양초 점토 15.6`g(1.2`g 한 개, 4.8`g 세 개), 이쑤시개, 양초 심지, 가위, 도가니
(30`mL) 네 개, 점화기 두 개, 물, 이산화 망가니즈, 비커(50`mL), 약숟가락, 묽은 과산화
수소수, 투명한 아크릴 통(지름 12`cm) 두 개, 도가니 집게, 보안경, 실험용 장갑, 면장갑,
• 반드시 보안경, 실험복을 착용
실험복 탐구 유의 사항 [탐구 1]과 [탐구 2]에서 두 초에 불을 붙일 때 점화기 두 개를 모둠원 두
해요.
명이 각각 들고, 동시에 불을 붙이도록 지도한다. 관찰할 때 한쪽 초의 촛불이 먼저 꺼지면
• 실험 전후에는 창문을 열어 다른 초의 촛불을 끄고 실험을 끝내게 한다.
환기를 해요. 어떻게 할까요
• 양초 점토로 초를 만들 때에는
반드시 실험용 장갑을 껴요. 탐구 1 크기가 다른 초가 탈 때 변화 관찰하기
• 불을 다룰 때에는 반드시 면
장갑을 끼고, 화상을 입거나 1 양초 점토 4.8`g과 1.2`g으로 크기가 다른 초 두 개를 만들고 도가니에 각각
화재가 발생하지 않게 주의
넣습니다.
해요.
가위로 양초 심지를 자를 때나 이쑤시개로 초에 구멍을 뚫을 때에는 다치지 않게 주의해요.
• 점화기로 장난치지 않아요.
• 불꽃에 얼굴을 가까이 하지 초 위로 올라오는 양초 심지의 길이를 같게 해요.
않아요.
• 초가 탈 때나 촛불이 꺼질 때 2 두 초에 불을 동시에 붙이고 촛불의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연기를 마시지 않게 주의해요.
양초 점토 1.2`g으로 만든 초(오른쪽)는
수업 도우미
4`분 정도 연소한 뒤 촛불이 꺼진다.
• 양초 점토 한 장의 무게는 약 19.2`g이다. 따
4
• 라서 한 번 1로 자르면 4.8`g, 한 번 더 1
4
/
/
• 로 자르면 1.2`g이 된다.
• 양초 점토를 손으로 뭉쳐 바닥에 세울 수 있는
모양으로 초를 만든다. 이쑤시개로 초의 가운
데에 구멍을 뚫은 뒤, 양초 심지를 구멍에 넣고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
• 실험이 끝나고 남은 양초는 일반 쓰레기로 버
린다. 도가니에 남은 촛농이 굳으면 도가니를
뜨거운 물에 중탕한 뒤 긁어내어 제거한다.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