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ele_science_6-2_teacher
P. 59
지도상의 유의점
• 물질이 연소하는 데 필요한 조건 세 가지를 알아보는 탐구를 연차시로 구성하여 지도한다.
• 모래 상자, 소화기 등 안전과 관련한 준비물을 반드시 확인하고, 수업 전 실험 안전 교육을 한다.
3 촛불의 변화가 2 와 같이 나타난 까닭을 모둠원과 이야기해 봅시다.
탐구 2 크기가 같은 초가 탈 때 변화 관찰하기
1 양초 점토 4.8`g짜리 두 개로 크기가 같은 초 두 개를
1~3 도가니나 비커가 깨지지 않게 주의해요.
만들고 도가니에 각각 넣습니다.
물,
2 두 도가니를 20`cm ̄30`cm 정도 떨어뜨려 놓고, 한쪽 이산화 망가니즈,
묽은 과산화 수소수
도가니 옆에 물을 조금 넣은 비커를 놓습니다.
묽은 과산화 수소수의 농도가 3`% 정도 되도록 물을 넣는다.
3 2 의 비커에 이산화 망가니즈를 약숟가락의 작은 숟가락
으로 한 숟가락 넣고 묽은 과산화 수소수를 절반 정도 20`cm ̄30`cm
넣은 뒤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지름이 12`cm인 아크릴 통을 각각 덮을
수 있도록 도가니를 떨어뜨려 놓는다.
4 두 초에 불을 동시에 붙이고 두 아크릴 통으로 각각을 덮은 뒤 촛불의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아크릴 통에 촛불이 닿 산소가 공급되는 초가 안전
지 않게 하고, 아크릴 계속 타면 아크릴 통
실험이 끝나면 사용한 물질은
통을 쓰러뜨리지 않게 의 윗부분이 뜨거워지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정해진
지도한다. 므로 주의해야 한다.
곳에 버려요.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초(왼쪽)는 1`분 정도 연소한 뒤 촛불이 꺼진다.
5 촛불의 변화가 4 와 같이 나타난 까닭을 모둠원과 이야기해 봅시다.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
• [과학적 사고력] 관찰한 결과를 통해 물질이 타려면 • [태도] 물질이 탈 때 필요한 조건을
정리해 볼까요 탈 물질과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추론하게 한다. 알아보는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 [과학적 탐구 능력] 물질이 탈 때 필요한 조건을 알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보는 탐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게 한다. • [탐구] 물질이 탈 때 필요한 조건을
초가 타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크기가 다른 초가 탈 때와 알아보는 탐구를 잘 수행했는가?
예시 답안 초가 타는 데 탈 물질이 필요하고,
크기가 같은 초가 탈 때 촛불의 변화를 관찰하고, • [지식] 물질이 탈 때 필요한 조건 두
산소가 필요하다.
각각의 결과가 나타나는 까닭을 이야기하게 한다. 가지를 옳게 설명했는가?
크기가 큰 초보다 작은 초에서 촛불이 먼저 꺼진 까닭은 탈 물질이 도우미 - 6학년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타고 있는 초를 아크릴 통으로 덮으면 산소가 산소의 성질
산소는 스스로 타지 않지만 다른
공급되는 초는 계속 타지만 산소가 공급되지 않은 초는 시간이 지난 뒤 물질이 타는 것을 돕는 성질이
있어요.
촛불이 꺼집니다. 이처럼 산소가 부족하면 탈 물질이 남아 있더라도
더 이상 타지 않습니다. 보충 기체 검지관을 이용해 양초가 탈 때 필요한 물질 알아보기
기체 검지관은 기체의 부피 비율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아크릴 통으로 초를 덮고 기체 검지관으로 아크
릴 통 속 산소의 비율을 측정하면 약 21`%이다. 초에 불을 붙이고 촛불이 꺼진 뒤 다시 아크릴 통 속
산소의 비율을 측정하면 약 17`%로 줄어든다. 이로부터 물질이 탈 때 산소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