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ele_science_6-2_teacher
P. 54

수업 PPT     학습 목표
                                            DVD
      1                                        학습 지도안     기체를 이용한 촛불 마술을 통해 연소와 소화 현상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10 차시
                                기체를 이용한 촛불 마술





       수업 흐름
                                  나라네 모둠은 기체를 이용한 촛불 마술을 소개했습니다. 먼저 촛불이
        도입  촛불이 잘 타게 하는
       마술에 대해 이야기하기
                                잘 타는 마술을 보면서 마술에 이용한 기체를 생각해 봅시다. 또, 촛불을
        전개
       • 마술로 촛불 끄기              직접 꺼 보는 마술을 하면서 어떤 기체를 이용했는지 알아봅시다.
       • 촛불이 잘 타거나 촛불이            지도상의 유의점
        꺼지는 까닭을 기체의 성              • 연소와 소화 현상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도한다.
        질과 관련지어 설명하기              •  6학년 1학기 ‘3.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 학습한 산소, 이산화 탄소의 성질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정리  활동 정리하기                • 연소, 연소의 조건, 소화 등의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

                   ●  약품이 피부나 옷에 닿지 않게 주의해요.
                  ●    실험이 끝나면 사용한 물질은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정해진 곳에 버려요.



                   묽은 과산화
                    수소수



                                   감자 껍질



                     자른 감자 껍질을 병에 넣고                                               병마개를 열고 병 입구에
                    묽은 과산화 수소수를 넣습니다.                                               촛불을 가까이 합니다.
                                                      병마개를 닫습니다.



                              촛불이 잘 타는 마술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수업 도우미
                                                 촛불이 잘 타게 하는 마술은 학생들이 실제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추가로 빈 음료
                                                 수병, 비커(100`mL), 감자 껍질, 묽은 과산화
                                                 수소수, 길이가 긴 초를 준비한다.











                                                            촛불을 잘 타게 한       우리가 배웠던 기체를
                                                              기체가 뭘까?          생각해 보자!
                               응. 신기하다!
      촛불이 잘 타네.








           54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