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ele_science_6-2_teacher
P. 52
과학 기술
공학
시각과 절기를 알려 주는
해시계 앙부일구
활용 방법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앙부일구는 ‘하늘을 우러르는 가마솥 모양의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앙부일구는 태
양을 이용해 시각을 알려 주는 해시계 해시계’라는 뜻입니다. 앙부일구의 바닥에는 시각을 나타내는 세로
이다. 햇빛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의 위
치를 통해 정확한 시각을 측정할 수 줄과 절기를 나타내는 가로줄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 위로 영침이 있어
있고, 동시에 절기도 알 수 있게 했다.
이 단원에서 배운 태양 고도의 일변화 바닥에 생긴 영침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위치에 따라 시각과 절기를 알
및 계절별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에
대한 내용을 떠올려 앙부일구의 원리 수 있게 했습니다.
를 생각해 보고, 앙부일구가 그 당시
생활에 주었을 영향을 생각해 봄으로 세종 대왕(1397 ̄1450)은 앙부일구를 사람이 많이 다니는 종묘
써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
로 활용할 수 있다.
앞과 혜정교에 설치했습니다. 그 덕분에 오가는 사람 누구나 앙부
일구를 보며 쉽게 시각과 절기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시각선
절기선
영침
앙부일구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앙부일구의 원리와 기능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게 한다.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앙부일구가 그 당
시 농사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설명하는 과정에
서 계절의 변화와 우리 생활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
고 탐색하게 한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앙부일구가 그 당시 농사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설명해 봅시다.
[지도 방향] 문화재청 누리집 등에서 앙부일구에 대해 조사한 뒤 답을 하게 할 수 있다.
예시 답안 앙부일구는 현재의 시각과 절기를 정확하게 알려 주어 씨를 뿌리거나 추수할 시기를 알 수 있게
하는 등 농사에 큰 도움을 주었다.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