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 ele_society_5-1_teacher
P. 61
내용 ➋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변화 ➌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모여 사는 곳
정리
1960년대 남서쪽 평야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음. • 수도권에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모여
수도권과 대도시, 산업이 발달한 지역의 살고 있음.
최근
인구 밀도가 높음.
1960년대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모여들었다. 그 결과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등 대도시와 산업이 발달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아
졌고, 산지가 많은 지역과 촌락이 많은 지역의 인구 밀도는 낮아졌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은
수도권 수도를 중심으로 이루
수도권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모여 살고 어진 대도시권. 우리나라의
수도권은 서울특별시와 그 주변인
있다.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말함.
2020년 우리나라의 인구: 약 5,183만 명
인구 분포 0 50km
울릉도
독도
보충 설명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화
경기도는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인구가 동 해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서울의 인구 분산 정책
으로 서울 주변에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인구가
유입되었기 때문입니다.
황 해
지도에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곳에
표 해 보세요.
답 지도 참고
2
인구 밀도(명/km )
남 해
5,000 이상
1,000~5,000
500~1,000
250~500
100~250 이어도종합
해양과학기지
100 미만
[출처: 통계청, 2021]
3.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