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ele_society_5-1_teacher
P. 64
내용 ➋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
정리
1970년대 이전 오늘날
전체 인구에서 유소년층 원인: 경제 발전,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았음. 의료 기술 발달 등 인구 비율이 높아짐.(저출산·고령 사회)
보충 설명 고령화 사회
고령화가 진행되어 총인구 중에 고령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전까지 전체 인구에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
인구 비율이 점점 높아 가는 사회 또는 이 높았다. 이후 경제가 발전하고 아이를 적게 낳는 가정이 늘어나
현저하게 높아진 사회를 말합니다. 전
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 출생률이 감소하면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졌다. 또한 의료 기술이
하는 비율이 7 %이면 고령화 사회, 14 %
이면 고령 사회, 20 %이면 초고령 사회 발달하면서 사망률이 감소하여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아졌다.
또는 후기 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습
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에 65세 이상 오늘날에는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노년층 인구 비율이
인구가 전체 인구의 15.7 %에 이르러 현
재 고령 사회에 해당합니다. 높아지는 저출산·고령 사회의 특징이 나타난다. 수업 제안
저출산·고령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조사해 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발표해 보게 합니다.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
(%)
11.3
3.9
5.0
100 3.3 3.9 5.0 7.3 11.3 16.0
7.3
100
80
80
72.5
71.7
69.3
62.3
60
60 54.6 62.3 69.3 71.7 72.5 71.9
40
40
65세 이상
65세 이상
(노년층)
(노년층)
15~64세
20 15~64세
20
(청장년층)
(청장년층)
0~14세
0~14세
16.2
21.0
42.1 33.8 25.7 21.0 16.2 12.1 (유소년층)
33.8
25.7
(유소년층)
0 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년) [출처: 통계청, 2021]
2020 (년)
1990
1980
1970
2010
2000
[출처: 통계청, 2021]
1 표를 보고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그래프를 완성해 보자.
(단위: %)
구분 0~14세(유소년층) 15~64세(청장년층) 65세 이상(노년층)
연령별로 제시된
1970년 42.1 54.6 3.3 세 가지 색깔에
맞게 색연필로
2020년 12.1 71.9 16.0 색칠해 보세요.
답 위 그래프 참고
2 다음은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내용에 ◯ 표 해 보자.
1970년과 비교하였을 때 2020년의 유소년층 인구 비율은 ( 줄어들고, 늘어나고 ),
노년층 인구 비율은 ( 줄어들었다, 늘어났다 ).
64 국토와 우리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