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ele_society_5-1_teacher
P. 63
수업 PPT 수업 목표 내용 정리
DVD • 우리나라 인구 구조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➊ 인구 구조 19
2 우리나라 의 • 뜻: 일정한 지역 안의 인구를 나이, 26차시
성별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나타
낸 것
• 연령별 인구 구조: 유소년층(0~14
변화를 살펴볼까요 세), 청장년층(15~64세), 노년층
(65세 이상)으로 구분함.
인구 구조는 일정한 지역 안의 인구를 나이, 성별 등 여러 가지 기준
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구 구조를 연령별로 나타낼 때는 유소년층
(0~14세), 청장년층(15~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수업 제안
옛날에는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많아 어린이 인구가 많았지만, 오늘날 공익 광고 등의 영상 자료나 신문
기사와 같이 우리나라 인구 구조
에는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어들어 어린이 인구가 적다. 옛날과 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면서 학생들
이 흥미를 느낄 만한 자료를 준비
오늘날의 교실 모습을 살펴보며 우리나라의 학생 수가 어떻게 변화하 하여 보여 주면 좋습니다.
였는지 생각해 보자.
할아버지의 일기 나의 일기
1965년 3월 2일 화요일 날씨: 맑음 2023년 3월 2일 목요일 날씨: 맑음
개학을 했다. 우리 반은 인원이 많아서 기다리던 개학을 했다. 그동안 보고
좁은 교실에 빽빽하게 모여 앉았다. 싶었던 친구들을 만나서 기분이 좋다.
가장 친한 친구인 기영이는 오후반이어서 우리 반에는 작년에 같은 반이었던 친구가
점심때쯤 등교한다고 한다. 같은 오전반 많았다. 올해도 친구들과 재미있게 잘
이면 좋을 텐데 아쉽다. 지내고 싶다.
보충 설명 1960년대 교실 모습
1950~1960년대에는 출산율이 높아 학생 수가 크게 늘
어나면서 전국적으로 교실 부족 현상이 심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는 오전반, 오
후반으로 시간을 나누어 운영하기도 하였습니다.
3.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