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ele_society_5-1_tutor
P. 142
4 차시
교과서 22~23 쪽
3 소중한 우리 를 하는 통해 국토를 아름답게 가꾸고, 국토를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 후손
우리는 국토를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 환경 보호, 자원봉사 활동 등을
마음을 표현해 볼까요 들에게 잘 물려주어야 한다.
초)사회1-1_1-1(주제3) 60% 축소 사용 우리 국토를 아름답게 가꾸는 모습
국토는 과거로부터 오늘날까지 우리가 살아온 삶의 터전이고, 앞으
로도 살아갈 터전이다. 따라서 우리는 국토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알고,
국토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우리 국토를 지키는 모습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나무를 가꾸거나 환경을 보호하는
분리배출하기 나무 심기 행사에 참여하기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기
◯◯신문 20◯◯년 ◯월 ◯일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
반크는 인터넷에서 우리나라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찾아 바로잡는 활동을 하고 있다. 외국의 지도나 교과서에
동해로 표기해 자원봉사 활동이 살린 바다
독도와 동해가 잘못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찾아내 수정을 주세요.
요구하는 등 반크의 노력으로, 우리나라에 관한 올바른 정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앞바다에서 유조선 사고로 배에서 많은 기름이 흘러나와 깨끗한
보가 널리 알려지고 있다.
서해안이 순식간에 오염되어 검게 변하였다. 하지만 많은 자원봉사자가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고 현장을 찾아 함께 기름을 걷어 내면서 지금은 다시 깨끗한 바다로 되살아났다.
비무장 지대를 걸어요 우리 영공을 지키는 공군
- 『연합뉴스』, 2017. 12. 5. -
남한과 북한의 경계에 있는 비무장 지대 광복 75주년을 기념하여 공군 전투기들이 동
는 분단의 상징인 동시에 생태계가 잘 보전 해 바다 위 우리 영공을 날아올랐다. 공군은 우 사고 당시 복구 후
되어 있는 생명의 상징이다. 최근 들어 비 리 영공 곳곳을 날며 항공기들의 안전을 지키는
무장 지대 평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의 길을 걸으며
국토의 소중함을
알고자 하는 사
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2 22 국토와 우리 생활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23 23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우리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수업의 흐름 • 우리나라의 영역은 어디인가요?
• 우리나라의 영역 떠올리기 – 우리나라의 영역 중 영토는 한반도와 한반도에 속한
도입 • 우리 국토가 오염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 여러 섬, 영해는 영토 주변 바다의 영역, 영공은 우리
이야기하기
나라의 영토와 영해 위에 있는 하늘의 범위입니다.
➊ 우리 국토를 사랑해야 하는 까닭 알아보기
동기 유발하기
➋ 우리 국토를 지키고 아름답게 가꾸는 모습 살펴
전개 보기 • 산불이 크게 나거나 바다에 기름이 흘러 우리 국토가 오염
➌ 아! 그렇구나 자원봉사 활동이 살린 바다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➍ 활동해요 우리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표현하기 –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이 생겨납니다.
정리 우리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다지기 – 사람들과 동식물들이 살기 어려워집니다.
전개
➊ 우리 국토를 사랑해야 하는 까닭 알아보기
• 우리는 왜 국토를 소중히 여겨야 할까요?
140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