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ele_society_5-1_tutor
P. 144
5 차시
교과서 25 쪽
4 우리 국토의 을 자연환경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지역 구분
우리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표현하기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지역을 구분하였다. 우리 국토의 지역 구분
1 우리 국토를 지키고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써 보자. 살펴볼까요 우리나라는 산줄기, 고개, 강, 호수, 바다 등을 기준으로 관서, 관북, 관동, 우리 국토를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해 보자.
우리 국토를 지키느라 애쓰시는 국군이나 경찰에게 응원 편지를 씁니다. 해서, 경기, 호서, 호남, 영남 지방으로 지역을 구분하였다. 1 우리 국토를 지도와 같이 구분하는 기준 2 전통적인 지역 구분 지도의 1 ~ 3 에
이 되는 (가), (나)가 무엇인지 써 보자. 해당하는 지역의 이름을 써 보자.
우리 국토의 지역 구분 0 100km 0 100km
우리 국토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역 자연환경이나 인문환경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지역 구분 백두산 맥
특성이 다른 곳과 구분되는 공 산
우리 국토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지도를 통해 살펴보자. 간의 범위. 낭 함 경
2 우리 국토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자. 림 북부 지방 1
산
0 100 km
대 동 강 맥 동 해
국토 사랑 신문 만들기 국토 사랑 글짓기 0 100km 백두산 철령관 철령 고개에 외적의 관북 지방 태 ㈎ 중부 지방 동 해
맥 침입을 막으려고 건설한 요새. 백 울릉도 울릉도
산 북부 지방 한강 산 ㈏ 독도 독도
경 철령관을 기준으로 서쪽 황 해 소 맥
낭 원래는 멸악산맥의 북쪽을 뜻했지만, 의림지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황 해
함 저수지. 은 관서 지방, 북쪽은 관북 금강 백 남부 지방 금강 2
림 6₩25 전쟁 이후부터는 휴전선 북쪽의 관서 지방 지방, 동쪽은 관동 지방이라 육지 높이(m) 산 3
2,000 이상
북한 지역을 뜻해요. 1,500~2,000 맥 낙 동 강
산 고 해요. 관동 지방은 태백 1,000~1,500
대 동 강 맥 동 해 중부 지방 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과 영서 200~500
500~1,000
100~200
0~100
지방으로 나뉘어요.
이어도종합
악 산 맥 태 휴전선 휴전선 남쪽부터 소백산맥과 금강 하류 관동 지방 해양과학기지 남 해 남 해
멸 철령관 한라산
백 까지의 지역을 뜻해요. 경기만의 서쪽에 있어서 해서 지방 영 태 영
산 동 해
한 강 울릉도 해서 지방이라고 해요. 서 백 동
국토 홍보 영상 만들기 국토 환경 보호하기 황 해 맥 독도 (가) 1
소 지 산 지
남부 지방 내가 사는 곳의
육지 높이(m) 금 강 백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경기는 왕이 사는 도읍(한 경기만 경기 지방 방 맥 방 울릉도 와/과 2
2,000 이상 산 소백산맥과 금강 하류의 남쪽 지역을 양)과 그 주변의 땅을 뜻해요. 독도 (나)
1,500~2,000 낙 동 뜻해요. 어느 지방에 속하는지 의림지
1,000~1,500 맥 강 말해 보세요.
500~1,000 호서 지방 3
200~500 황 해 소 조령(문경 새재) 조령(문경 새재)이라는
100~200 의림지 또는 금강(옛 이름 금강
0~100 호강)을 기준으로 서쪽에 있 백 고개의 남쪽을 영남 지방이
남 해 영남 지방
이어도종합 는 지방을 호서 지방이라고 라고 해요.
해양과학기지 산
한라산 해요.
호남 지방 맥
3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사례를 더 조사해 보자.
금강의 옛 이름인 호강의
남북으로 긴 우리 국토는 큰 산맥과 하천을 중심으로 북부, 중부, 산맥 큰 산들이 한 방향으로 남쪽에 있어서 호남 지방이 내가 사는 곳이
길게 이어져 있는 줄기. 라고 해요. 어느 지방에 속하는지
남부 지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북부 지방과 중부 지방은 표 해 보세요.
남 해
우리 국토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알고,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휴전선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은 소백산맥과 휴전선 6 · 25 전쟁이 멈춘 후 1 우리나라의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은 휴전선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 ◯, × )
있다. 최고야 잘했어 아쉬워 그어진 남한과 북한의 경계선. 2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 )환경을 이용하여 지역을 구분하였다.
금강 하류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25 26
24 국토와 우리 생활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25 26 국토와 우리 생활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27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다양한 기준에 따라 우리 국토를 구분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수업의 흐름 • 우리 국토를 지키고 아름답게 가꾸는 모습에는 어떤 것들
이 있나요?
• 우리 국토를 지키고 아름답게 가꾸는 모습 떠올
도입 리기 – 공군이 우리 영공을 지킵니다.
• 우리 국토를 나누는 나만의 기준 이야기하기 –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습니다.
➊ 우리 국토의 지역 구분 알아보기 – 환경을 보호하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합니다.
➋ 자연환경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지역
전개 동기 유발하기
구분 알아보기
➌ 활동해요 우리 국토의 지역 구분 • 교과서 25쪽 차시 제목의 그림처럼 우리 국토로 퍼즐을 만
들려고 합니다. 우리 국토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눌 때
정리 우리 국토의 지역 구분 정리하기
나만의 기준을 말해 볼까요?
– 행정 구역에 따라 여러 개로 나눕니다.
– 휴전선을 기준으로 위, 아래 2개로 나눕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지역 구분의 뚜렷한 기준을 세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므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자기만의 기준
을 이야기하면서 수업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한다.
142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