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ele_society_5-1_tutor
P. 147
전개 ➌ 아! 그렇구나 _ 우리나라 행정 구역 이름의 유래 1
•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행정 구역의 이름은 언제부
➊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 알아보기 단원
터 사용한 것일까요?
•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은 조선 시대 초기에 정한 것
– 앞 시간에 배웠던 것처럼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구분
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합니다.
–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 등 전국을 8
– 시청과 도청 등을 방문할 때 확인하는 행정 구역으
도로 나누어 지역을 돌보았습니다.
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 교과서 29쪽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 지도를 보면 조선 시
• 행정 구역이란 무엇일까요? 대 행정 구역의 이름을 정한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 나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행정 기관별로 범 시대에 각 도의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위를 나눈 지역을 말합니다. – 함경도는 함흥과 경성, 평안도는 평양과 안주, 황해
• 자연환경에 따른 지역 구분과 행정 구역은 어떤 관계가 있 도는 황주와 해주, 강원도는 강릉과 원주, 충청도는
을까요? 충주와 청주,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 경상도는 경주
– 오늘날의 행정 구역은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한 지역 와 상주의 앞 글자를 따서 이름을 정했습니다.
구분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 경기도는 도시 이름에서 따지 않고, 왕이 사는 도읍
•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과 그 주변이라는 뜻을 가진 경기라는 이름을 사용
– 우리나라는 북한 지역을 제외하면 특별시 1곳, 특별 했습니다.
자치시 1곳, 광역시 6곳, 도 8곳, 특별자치도 1곳으 • 조선 시대 행정 구역의 이름을 보고 알 수 있는 것은 무엇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까요?
지도상의 유의점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남한의 행정 구역만으 – 조선 시대에 각 도에서 중심 도시 역할을 했던 도시
로 한정해 수업을 진행한다. 교과서 28쪽에 제시된 북한의 행정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구역 이름은 1945년 이전을 기준으로 하였다. 현재 북한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평양직할시), 3특별시(나선특별시, 남포특별시,
개성특별시), 9도(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함경
판서하기
남도, 함경북도, 자강도, 강원도, 양강도)로 구성되어 있다.
1.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
➋ 탐구해요 _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 찾아보기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임.
오늘날의 행정 구역은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한 지
1. 지도에서 특별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를 찾아
역 구분을 기초로 하고 있음.
보고, 그 이름을 써 보자.
북한 지역을 제외하면 특별시 1곳, 특별자치시 1
정답
곳, 광역시 6곳, 도 8곳, 특별자치도 1곳으로 이루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어져 있음.
2. 6곳의 광역시를 찾아 지도에 표 해 보자.
해설 교과서 자료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교과서 29쪽 용어 경기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를 찾아 표시하면 됩니다. 경기도의 한자를 살펴보면 京(경)은 서울, 도읍, 수
3. 8곳의 도를 찾아 지도에 표 해 보자.(북한 지역은 도를 뜻하고, 畿(기)는 왕성(王城)을 중심으로 사방
제외) 오백 리 이내의 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해설 경기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을 말한다. 우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 리나라는 고려 시대부터 왕도의 외곽 지역을 공식적
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에 표 하면 됩니다. 으로 경기라고 하였다.
국토와 우리 생활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