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5 - ele_society_5-1_tutor
P. 185

교과서  64~65   쪽
                                                                                                                   1
                                                                  ➋ 탐구해요 _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전까지 전체 인구에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                               1.  표를 보고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단원
                            인구 피라미드
 이  높았다.  이후  경제가  발전하고  아이를  적게  낳는  가정이  늘어나
                        인구 피라미드는 특정 국가나 지역의 연령별, 남녀별 인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인구 피라미드를   그래프를 완성해 보자.
 출생률이 감소하면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졌다. 또한 의료 기술이
                       보면 그 지역의 인구 구조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짧은 시간에 빠른 속도로 경제 발전과
 발달하면서 사망률이 감소하여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아졌다.
                       산업화가 이루어져 인구 구조도 급격하게 변하였다. 시기별 우리나라의 인구 피라미드를 보고 우리나라의   정답
 오늘날에는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노년층  인구  비율이
                       인구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자.
 높아지는 저출산·고령 사회의 특징이 나타난다.
                                                                    교과서 64쪽 축소판 참고
                       1960년  연령(세)  남  여        인구 피라미드 읽기
                              80
                             연령(세) 이상  남  여
                              75
                             80 이상~79
                             75~79 70~74      1   가로축은  남녀  인구  비율  또는
                             70~74 65~69
                             65~69 60~64                            2.  다음은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에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60~64 55~59       인구수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55~59 50~54
                             50~54 45~49       나타냈어요.
                             45~49 40~44    출생률이 높아 유소년층의
                             40~44 35~39
 (%)                         35~39 30~34  비율이 높아요.  2   세로축은  연령을  5세  간격으로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내용에 ◯ 표 해 보자.
                             30~34 25~29
 100  3.9  5.0  7.3  11.3    25~29 20~24       나타냈고,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20~24 15~19
                             15~19 10~14       연령이 높아요.
                             10~14 5~9
                             5~9 0~4
 80                      10  5  0~4 (%)  0  5  10                   정답
                              0
                        10  5  0  (%)  0  5 [출처: 통계청, 2021]
                                   10
                                [출처: 통계청, 2021]
 60  62.3  69.3  71.7  72.5                                           1970년과 비교하였을 때 2020년의 유소년층 인구
                                   사망률이 감소하면서 노년층의     노년층의 비율이 점점 더
                                 비율이 늘어났어요.   늘어나고 있어요.
 40
   65세 이상                                                           비율은  (줄어들고, 늘어나고),  노년층  인구  비율은
   (노년층)               1990년  연령(세)  남  여  2020년  연령(세)  남  여
                                                 80
                              75~79
                                                 75
                                                80 이상~79
                             80 이상
 20  15~64세                  연령(세) 80 이상  남  여  연령(세) 이상  남  여
                             75~79
                              70~74
                                                 70~74
                                                75~79
   (청장년층)
                             70~74 65~69        70~74 65~69         (줄어들었다, 늘어났다).
   0~14세                     65~69 60~64        65~69 60~64
 33.8  25.7  21.0  16.2  (유소년층)  60~64 55~59    60~64 55~59
 0                           55~59 50~54        55~59 50~54
                              45~49
                                                 45~49
                                                50~54
                             50~54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년)  [출처: 통계청, 2021]  45~49 40~44  45~49 40~44
                             40~44 35~39        40~44 35~39
                             35~39 30~34        35~39 30~34
                             30~34 25~29        30~34 25~29
                             25~29 20~24        25~29 20~24
  1    표를 보고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 그래프를 완성해 보자.  20~24 15~19  20~24 15~19
                                                 10~14
                              10~14
                             15~19
                                                15~19
                                                10~14 5~9
                             10~14 5~9
                             5~90~4             5~90~4            ➌ 아! 그렇구나 _ 인구 피라미드
                                                0
                              0
 (단위: %)                 10  5  0~4 (%)  0  5  10  10  5  0~4 (%)  0  5  10
                                   10
                                                      10
                        10  5  0  (%)  0  5 [출처: 통계청, 2021]  10  5  0  (%)  0  5 [출처: 통계청, 2021]
                                [출처: 통계청, 2021]    [출처: 통계청, 2021]
 구분  0~14세(유소년층)  15~64세(청장년층)  65세 이상(노년층)
  연령별로 제시된                                                        •  시기별 우리나라의 인구 피라미드를 보고 우리나라의 인
 1970년  42.1  54.6  3.3  세 가지 색깔에     출생률이 감소하면서 유소년층의     유소년층의 비율이 더욱
  맞게 색연필로                비율이 줄어들었어요.          줄어들고 있어요.
 2020년  12.1  71.9  16.0  색칠해 보세요.                                  구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봅시다.
                          2050년에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은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자.
 2  다음은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내용에 ◯ 표 해 보자.         •  2050년에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은 어떻게 될
   1970년과 비교하였을 때 2020년의 유소년층 인구 비율은 ( 줄어들고, 늘어나고 ),   오늘날 우리나라는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아지는 저출산·고령 사회의   지 생각해 봅시다.
 노년층 인구 비율은 ( 줄어들었다, 늘어났다 ).  특징이 나타난다.  ( ◯,  ×  )
                                                                    –  노년층 인구 비율이 매우 높을 것 같습니다.
                                                          65
 64    국토와 우리 생활                                  3.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65
                                                                   정리
                  전개                                                 학습 내용 정리하기
                                                                  •  우리나라 인구 구조의 변화를 정리해 봅시다.
                 ➊ 인구 구조의 변화 살펴보기
                 •  한 나라의 인구 구조를 연령별로 어떻게 나눌 수 있나요?                  확인해요
                  –  유소년층(0~14세), 청장년층(15~64세), 노년층(65세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이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 구조 비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아지는 저출산·고령 사회의 특
                   소년층 인구와 노년층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징이 나타난다. ( ◯, × )
                  –  유소년층 인구는 줄어들고, 노년층 인구는 늘어나
                    고 있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그렇게 변화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  다음 시간에는 우리나라 도시 발달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
                  –  경제가 발전하고 아이를 적게 낳는 가정이 늘어
                                                                    겠습니다.
                    나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판서하기
                  –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망률이 감소했기 때문입
                    니다.                                             1.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
                 •  오늘날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는 어떻게 나타나나요?                         연령별 인구 구조: 유소년층(0~14세), 청장년층
                                                                       (15~64세), 노년층(65세 이상)
                  –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아지고 노년층 인구 비
                                                                        유소년층 인구 비율은 줄어들고 있고, 노년층 인구
                    율이 높아지는 저출산·고령 사회의 특징이 나타
                                                                       비율은 늘어나고 있음.
                    납니다.
                                                                                              국토와 우리 생활  183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