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2 - ele_society_5-1_tutor
P. 182
18 차시
교과서 60~61 쪽
1 1 우리나라 의 1960년대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이
특징을 알아볼까요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모여들었다. 그 결과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등 대도시와 산업이 발달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아
졌고, 산지가 많은 지역과 촌락이 많은 지역의 인구 밀도는 낮아졌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은
수도권 수도를 중심으로 이루
인구 분포란 어느 곳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지를 나타낸 수도권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모여 살고 어진 대도시권. 우리나라의
수도권은 서울특별시와 그 주변인
것이다. 202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는 5,1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있다.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말함.
살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여러 지역에 고르게 흩어져 살고 있을까?
1960년대 이전까지 농경 위주의 사회였던 우리나라는 농사지을 땅이
2020년 우리나라의 인구: 약 5,183만 명
인구 밀도 일정한 넓이(1 km 2 ) 넓은 남서쪽 평야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았고, 상대적으로 북동쪽 산지 인구 분포 0 50km
안에 사는 사람의 수로, 인구의
밀집 정도를 나타냄. 지역의 인구 밀도가 낮았다.
울릉도
1966년 우리나라의 0 50 km 인구: 약 2,916만 명 독도
인구 분포
울릉도
동 해
독도
동 해 황 해
황 해
지도에서 사람들이
지도에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곳에
많이 모여 사는 곳에 표 해 보세요.
표 해 보세요.
인구 밀도(명/km 2 )
인구 밀도(명/km 2 ) 5,000 이상 남 해
5,000 이상 남 해 1,000~5,000
1,000~5,000 500~1,000
500~1,000 250~500
250~500 100~250 이어도종합
100~250 해양과학기지
100 미만 100 미만
[출처: 통계청, 1967] [출처: 통계청, 2021]
60 60 국토와 우리 생활 3.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61 61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우리나라 인구 분포에 영향을 끼친 원인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인구는 몇 명일까요?
수업의 흐름 – 2020년을 기준으로 5,100만 명이 넘습니다.
도입 우리나라에 사는 인구 이야기하기 • 사람들은 지역별로 고르게 살고 있을까요?
➊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변화 살펴보기 –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지역도 있고, 그렇지 않은
➋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모여 사는 곳 지역도 있습니다.
전개
알아보기
수업 제안 전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수가 몇 명인지, 그 사
➌ 활동해요 인구 분포 지도 완성하기
람들이 여러 나라에 고르게 살고 있는지 질문하면서 수업을 시
•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변화 정리하기 작할 수도 있다.
정리 •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많이 모여 사는 곳과 그 까닭
전개
정리하기
➊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변화 살펴보기
• 인구 분포란 무엇인가요?
– 어느 곳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지를 나타
낸 것입니다.
180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