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8 - ele_society_5-1_tutor
P. 178
온돌 15 차시
온돌은 방바닥에 불기운이 지나가도록 불길을 만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고, 그 위에 넓적한 돌인 구들장을 얹는다. 그리고 연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대부분은 호우·
가 방 안으로 새어 들지 않게 바닥을 진흙으로 발라 만
태풍·대설 등 기후와 관련된 자연재해로서 거의 매년 여
들었다.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뜨거운 열기가 방바닥 아
름철에 반복되고 있다. 자연재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래 불길을 지나가며 방바닥 전체를 데우고 굴뚝으로 연
호우의 경우에는 경기도 북부와 충청도에서 자주 발생
기가 빠져나간다. 이렇게 데워진 방바닥은 열기를 오래
하지만, 대체로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하고 있다. 태풍
간직하고 천천히 식기 때문에 추운 겨울을 이기고 따뜻
은 주요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한 겨울을 보낼 수 있었다.
안과 동해안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대설은 호우나 태
- 고은애 외 3인, 『초등학생을 위한 개념 한국지리 150』, 바이킹,
2020, 85쪽 - 풍과 비교하여 그 발생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대설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해안, 강원 영동 지방 및 울
릉도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 권용우 외, 『우리 국토(중학교)』, 국토지리학회, 2015, 34쪽 -
14 차시
봄의 불청객 황사
강수
황사는 중국과 몽골의 건조한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강수는 하늘에서 내리는 액체 및 동결 상태의 모든 물
의해 올라간 다량의 모래 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날아와
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비, 눈, 우박, 싸락눈, 진눈깨비,
서서히 하강하는 것으로, 가깝게는 우리나라와 일본, 멀
이슬 등이 포함된다. 강수량은 비와 눈 등이 땅속으로 스
게는 태평양을 넘어 북아메리카까지 영향을 끼친다.
미지 않고 또 지면을 흘러가거나 증발되지 않고 그 자리
황사가 발생하면 호흡기와 안과 질환자가 증가하며,
에 고였을 때의 깊이를 말하며, 보통 mm 단위를 사용한
정밀 기계에 손상을 입힌다. 또한 항공기 엔진 손상 및
다. 비가 내린 양은 강우량이라고 하며 단위는 mm를 사
용한다. 눈이 내린 양은 강설량이라고 하며 단위는 cm 시정 악화로 이착륙 시 사고의 가능성이 커진다.
하지만 황사는 나쁜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황사 속
를 사용한다.
- 김종욱 외, 『한국의 자연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의 석회 등 알칼리성 성분이 산성비와 산성 토양을 중화
2016, 132쪽 - 하고, 식물과 바다의 플랑크톤에 영양분을 제공하기도
한다.
염전의 입지 조건 - 최재희, 『이야기 한국지리』, 살림출판사, 2016, 143~153쪽 재구성 -
바닷물을 이용하여 소금을 얻는 염전은 기후적으로
강수량이 적고 일조량이 많은 곳에 입지한다. 일조량이 태풍
많으면 바닷물을 말려 소금 결정을 얻어 내기에 좋고, 강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열
수량이 적으면 귀하게 얻은 소금을 빗물에서 지켜 내기 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전선을 갖지 않는 대류권 내 저기
에도 좋기 때문이다. 압성 순환)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 m/s 이
지형적으로는 바닷물을 끌어와 잘 말려 소금 결정을 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는 것이다.
만들 수 있는 넓고 평평한 땅이 필요하다. 또한 밀물과 태풍은 발생 장소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르다. 북태
썰물이 드나드는 차이가 커 바닷물을 쉽게 제어할 수 있 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태풍, 북대서양·카리브
는 환경이라면 염전이 입지하기에 적합하다. 우리나라 해·멕시코만·북태평양 동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리케
에는 서해안의 강화, 부안, 신안 등에 넓은 염전이 있다. 인, 인도양·아라비아해·벵골만에서 발생하는 것을 사
- 강재호, 『지리 레시피』, 황금비율, 2015, 15쪽 - 이클론이라고 부른다.
176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