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6 - ele_society_5-1_tutor
P. 176

하천의 지형 형성                                      사주, 석호, 육계사주 등이 발달한다. 모래 해안은 우리

             하천은 흐르면서 지표면을 깎는 침식 작용과 지표면                     나라의 서해안과 동해안에서 주로 볼 수 있다. 특히, 동
           을 메우는 퇴적 작용을 한다. 하천의 상류에서는 침식 작                   해안은 짧고 경사가 급한 하천이 좋은 모래 해안을 만들
           용이 활발하며 계곡, 폭포, 분지 등의 지형이 주로 형성                   어 유명한 해수욕장이 많이 분포한다.
           되고, 하천의 중·하류에서는 퇴적 작용이 활발하며 범                      갯벌은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크고 파랑의 작용이 적은
           람원, 삼각주 등의 지형이 주로 형성된다.                           해안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발달한다. 서해안과 남해안
                                                             에서 갯벌을 쉽게 볼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 Ⅱ』, 2020, 24쪽 -
              우리나라 하천의 특색
             우리나라는 경동 지형과 남서 방향의 지질 구조선의
                                                               다도해의 형성
           영향으로 큰 하천은 대부분 황해와 남해로 흐른다. 이들
                                                              약 2만 년 전에는 빙하가 가장 확대되었던 시기로, 해
           하천은 대체로 유역 면적이 넓고 유량이 많으며, 경사가
                                                             수면이 지금보다 120 m 정도 낮아 황해와 남해가 육지로
           완만하다. 반면, 동해로 흐르는 하천들은 두만강을 제외
                                                             이어져 있었다. 최종 빙기가 끝난 후 기후가 따뜻해지면
           하고는 유역 면적이 좁고 유량이 적으며, 경사가 급하다.
                                                             서 해수면이 상승하였고, 약 6,000년 전에 현재와 같은
           우리나라의 하천은 강수량의 계절적 변화가 크고, 대부
                                                             해안선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한반도의 남서 방향으
           분 유역 면적이 좁아서 유량의 변동이 심하다. 그래서 물
                                                             로 뻗어 있던 산지와 구릉지 사이로 바닷물이 들어왔고,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렵다.
                                                             높은 곳은 섬으로 남게 되면서 다도해가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의 평야
                                                               갯벌
             평야는 지표면 경사 5° 이하로 기복이 작고 평탄하며,
                                                              갯벌은 각종 어패류의 서식지와 산란장을 제공하며,
           고도가 비교적 낮은 지형이다. 우리나라의 평야 지형은
                                                             양식장이나 염전으로 이용될 만큼 뛰어난 생산성을 지
           약 30%가 되지 않으며, 서쪽과 남쪽의 해안선을 따라
                                                             니고 있다. 또한 갯벌은 오염 물질을 정화하고, 자연재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평야로는 한강 하류에
                                                             해와 기후 조절의 기능이 있으며, 특유의 경관 때문에 관
           있는 김포평야, 만경강과 동진강 하류에 있는 호남평야,
                                                             광지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낙동강 하류에 있는 김해평야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가
                                                              넓은 갯벌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캐나다 동
           장 넓은 평야인 호남평야는 바다를 메워 육지로 만드는
                                                             부 해안, 미국 동부 해안, 북해 연안, 아마존강 하류의
           간척 사업으로 더욱 넓어졌다.
                                                             갯벌과 더불어 세계의 5대 갯벌로 꼽힌다.
                 - 김금주 외, 『초등사회 개념사전』, 아울북, 2015, 184쪽 -

                                                              12
              우리나라의 해안 지형                                          차시
             해안 지형은 구성 물질에 따라 암석 해안, 모래 해안,                    기상과 기후

           갯벌로 나눌 수 있다. 암석 해안은 해안선이 바다 쪽으                     기상(날씨)은 공기 중에서 일어나는 하나하나의 대기
           로 돌출된 산지나 구릉지에서 파랑의 작용이 활발할 때                     현상 또는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대기 상태이며, 기후는
           발달하는 침식 지형으로 해식애(해안 절벽), 파식대, 해                   그런 기상의 종합적인 상태이다. 지표면의 특정 장소에
           안 단구 등이 특징적으로 발달한다. 우리나라는 동해안                     서 매년 비슷한 시기에 나타나는 평균적이며 종합적인
           과 남해안의 주요 산맥과 연결된 해안에 암석 해안이 많                    대기 상태를 기후라고 할 수 있다. 한 지역의 기후를 설
           이 나타난다.                                           명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30년 이상의 기상
             모래 해안은 퇴적물의 공급이 많고, 파랑에 의한 퇴적                   정보가 필요하다.

           작용이 탁월할 때 발달하는 퇴적 지형으로 사빈, 사구,                                 - 이승호, 『기후학』, 푸른길, 2012, 25~26쪽 -


           174    각론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