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ele_society_5-2_teacher
P. 114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활동을 알 수 있다.
1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알아볼까요
내용 ➊ 을사늑약과 헤이그 특사의 노력
정리 • 일본이 러일 전쟁 승리 후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
앗는 을사늑약을 체결함.
•고종이 헤이그에 특사를 보내 을사늑약이 부당함을 알리려고 하였으나 실패함.
1904년 러일 전쟁 을사늑약의 체결
1905년 을사늑약 대한 제국을 차지하기 위한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은 러일 전쟁으로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
이어졌다. 일본이 러시아에 승리하면서 대한 제국을 침략하기 시작하
늑약 억지로 맺은 조약. 였다.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는 군대를 이끌고 황궁을 포
위한 뒤 고종 황제와 대신들을 위협하여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으려 하였다. 신하들이 반대하고 고종이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완용 등 을사오적의
주도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고종은 헤이그에 특사를 보내어 을사늑약이 부당
함을 알리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방해로 뜻을 이
을사늑약 체결 당시 상황을 표현한 풍자화로, 칼을 든
일본 군인이 고종 황제를 겨누고 있다. 루지 못하였고,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왕위에서 물러
지도상의 유의점
을사오적 을사늑약을 체결하 나게 하였다.
는 데 앞장선 다섯 인물. 학생들에게 늑약이 강제로 맺어진 조약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려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한 노력, 헤이그 특사
고종은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
평화 회의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특사로 보냈다.
일제가 무력으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았다는
사실을 알리려 한 것이다.
이준 이상설 이위종
이위종은 각국 대표에게 편지를 쓰고, 기자단이 모
인 자리에서 대한 제국이 평화 회의에 참석할 자격이
있음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방해로 끝내 회의
에는 참석하지 못하였다. 헤이그의 『평화 회의보』에 실린 이위종의 인터뷰 기사
보충 설명 헤이그 특사
특사 특별한 임무를 위해 파견된 사절.
헤이그 특사 일행의 공식 대표는 이상설이었으며, 이준은 국내에서 고종 황제의 명을
직접 받았습니다. 이위종은 뛰어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외교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11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들은 고종 황제의 친서를 가지고 각국 대표에게 면담을 요청하였고, 기자 회견을 열어
대한 제국의 비참한 실정을 알리는 ‘한국의 호소’를 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