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5 - ele_society_5-2_teacher
P. 115
내용 ➋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정리 • 을미사변 이후 시작된 항일 의병 운동이 을사늑약을 계기로 •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 후 군인들이 의병 활동에 참여함.
전국 각지에서 일어남. • 의병 연합 부대를 만들어 한양으로 가 일본군을 무찌르려고
•유학자, 관리뿐 아니라 신돌석과 같은 평민 의병장이 활약함. 하였으나 일본군에 막혀 실패함.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을사늑약이 일제의 강요로 체결된 사실이 알려지자 전국 곳곳에서 항일 일본에 맞서 싸움.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특히 을미사변 이후 시작된 항일 의병 운동이
일제 일본 제국주의의 줄임말
을사늑약을 계기로 다시 전국 각지에 퍼져 나갔다. 의병 지도자들 중 로, 제국주의는 강력한 군사력
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민족이
에는 유학자와 관리뿐만 아니라 신돌석과 같은 평민 출신도 있었다. 나 국가를 지배하려는 정책임.
도움 영상 신돌석
‘태백산 호랑이’라고 불린 평민 출신 항일 의병장
신돌석의 활약상을 보여 주는 영상입니다.
강원도와 경상도 일대에서 의병을 일으킨 신돌석은 한때
수천 명에 이르는 의병을 거느리기도 하였다.
신돌석이 이끄는 의병단은 교묘한 유격
전술을 펼쳐 많은 성과를 올렸다. 또한 군대의
규범이 엄격하고 이동 중에 주변 농민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노력하여 백성들의 지지와
환호를 받았다.
유격 상황과 형편에 따라 적을 갑자기 공격하는 일.
고종 황제가 강제로 물러나고 일제가 대한 제국의 군대를 해산하자
군인들이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다. 각 지역에서 활동하던 의병들은
연합 부대를 만들고 한양으로 가 일본군을 무찌르려고 하였으나, 미리
정보를 얻은 일본군에 막혀 실패하였다.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국내의 의병 활동이 움츠러들었다. 의병들은
만주나 연해주 등으로 이동하여 국외에서 항일 투쟁을 이어 갔다.
1900년대 초 항일 의병들의 모습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우리 지역의 항일 의병 운동 조사하기
• 을사늑약이나 일제의 국권 침탈에 저항한 우리 고장의 항일 의병이나 의병 운동을
조사하도록 합니다.
• 인터넷과 서적 등에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물 카드 또는 사건 카드를 만들어
공유하게 합니다.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