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8 - ele_society_5-2_teacher
P. 118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12 •국권 피탈 후 일제가 추진한 식민지 통치 정책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2 의 식민 통치와 에
•국내외에서 민족 운동을 위해 힘쓴 인물들의 활동을 알 수 있다.
25차시
대해 알아볼까요
내용 ➊ 1910년대 일제의 식민지 통치 정책
정리 • 배경: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 • 신문 발행과 집회를 금지하여 언론을 통제함.
•식민지 통치 기관인 조선 총독부를 설치함. • 헌병 경찰제를 실시함.
•군인 출신의 총독을 임명함. • 전국적으로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함.
국권 피탈과 일제의 식민지 통치 정책
끈질긴 저항에도 불구하고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어
1910년 대한 제국은 강제로 나라를 빼앗겼다(국권 피탈).
일제는 식민지 통치를 위한 기관인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
고 군인 출신의 총독을 임명하였다. 또한 신문 발행과 집
회를 금지하여 언론을 통제하였으며, 헌병 경찰제를 실시
칼을 차고 있는 교사의 모습
하여 한국인을 감시하고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
식민지 주권을 잃어 정치적・ 일제는 전국적으로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토지 주인은 자신
경제적으로 다른 나라에 속하
게 된 나라. 의 토지를 직접 신고해야 했는데, 일제에 대한 불만과 복잡한 절차
등을 이유로 신고하지 않은 많은 농민이 땅을 잃었다. 소유자가 확실
헌병 경찰제 군대의 경찰인
헌병이 일반 시민들에 대한 경 하지 않은 땅은 총독부에 넘어가게 되었다.
찰 업무를 담당하게 한 제도.
보충 설명 토지 조사 사업
일제는 1910년 한국을 강점한 직후 조선 총독부 안에 임시 토지 조사국을 설치하고 토지 조사 사업에 착수하였습
니다. 전국의 토지 규모와 가격, 지형, 소유권자 등을 확실히 파악함으로써 식민 통치에 필요한 재정과 조세 수입
주인이 없거나 의 원천을 확보하고, 토지의 매매를 손쉽게 하여 일본인의 한국 정착에 필요한 토지를 확보하려 하였습니다.
모호한 땅은 나는 일제에
우리가 접수하지.
자신이 가진 땅을 협조하고 싶지 않아! 신고 절차가
신고하시오!
너무 복잡해.
11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