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 ele_society_5-2_teacher
P. 123

내용   ➌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➍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정리   • 3·1 운동 이후 국내외 여러 지역에서 임시 정부가 생김.   •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독립운동을 하나로 묶어 체계적으로 지휘하고자 함.
                          → 상하이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됨.         • 독립운동 자금을 모음, 국내외를 잇는 연락망을 조직함, 『독립신문』을
                         •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임.                발행함.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3·1 운동 이후 민족의 독립 열망을 담아 국내외 여러 지역에서 임

                 시 정부가 만들어졌다. 힘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임시 정부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되자, 상하이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가 들어섰다.                                            민주 공화제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의 의사에 따라 정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독립운동을 하나로 묶어                                    가 이루어지는 제도.

                 체계적으로 지휘하고자 하였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고, 국내외를 잇

                 는 연락망을 조직하였다. 또한 『독립신문』을 펴내 국내외 동포에게 독

                 립운동 소식을 알렸다.               보충 설명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의미
                                          임시 정부의 통합 운동을 벌인 결과, 1919년 4월 10일 29명의 대표자들이 모여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을 결성하였습니다. 임시 의정원은 첫 회의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결정하는 한편, 정부 조직과 내
                                          각 구성원을 선출하고, 헌법에 해당하는 ‘임시 헌장’을 선포하였습니다. 이로써 대한 제국이 멸망한 지
                                          9년 만에 ‘제국’에서 ‘민국’으로 전환하면서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임을 선언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

                                 안창호의 글을 보고 대한 제국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오늘날 우리나라에는 황제가 없나요? 있소. 대한 제국에는 황제
                                                 가 1인밖에 없었지만 오늘은 2천만 국민이 모두 황제요. 여러분도
                                                 다  황제요.  황제란  무엇이오?  주권자를  뜻하는  이름이니,  과거의
                                                 주권자는 오직 한 사람이었으나, 지금은 여러분이 다 주권자외다.

                                                   주권자  국가의 권력을 가진 사람.                    - 『독립신문』, 1920. 1. 8. -


                            1     윗글을 읽고 다음 빈칸을 채워 보자.




                                  대한 제국의 주권자는               (이)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권자는                   (이)다.
                                                        황제                                        국민

                            2     윗글을 읽고 대한 제국과 비교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대한 제국의 주권은 한 명의 황제에게 있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권은 2천만 국민에게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민주 공화제 정부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
                            3·1 운동의 결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 ◯,   )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3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