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ele_society_5-2_teacher
P. 127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 1930년대 이후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에 맞서 우리 민족을 지키기 위해 15~16
5 전개한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을 지키기 25차시
에 맞서
위한 노력을 알아볼까요
보충 설명 신사 참배 강요 내용 정리
일제는 서울의 남산을 비롯해 전국 각지의 중요한 장소 ➊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나 학교, 면마다 신사를 세우고 참배하게 하면서 일본의 •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역사만 가르침.
국가 종교인 신도를 강요하였습니다. 신사 참배를 거부 •전국의 신사에 강제로 참배하게 함.
민족 말살 통치 할 경우에는 무자비한 탄압을 자행하였습니다.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게 함.
•전쟁에 필요한 사람을 강제로 끌고 감.
1930년대 후반 일제는 만주 침략을 시작으로 아시아와 태평양 곳곳 • 전쟁에 필요한 쇠붙이와 쌀 등 각종 물자
를 빼앗음.
에서 침략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을 일본 왕에 충성하고
신사 참배 일본의 신을 모시는
식민 지배에 협조하도록 만들기 위해 민족 말살 통치를 실시하였다. 신사에 강제로 절하게 한 일.
학교에서는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 교육을 금지하고 일본
어와 일본 역사만을 가르쳤다. 전국의 신사에 강제로 참배
하고 이름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였다.
일제는 침략 전쟁에 우리 민족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전쟁에 필요한 사람을 강제로 끌고 갔으며(강제 징용),
쇠붙이와 쌀 등 각종 물자를 빼앗아 갔다. 일제 강점기 신사 참배 모습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지 않으면 받는 불이익과 저항
조선 총독이 지로
일본식 이름을
아직도 한국 이름을 (둘째 아들)면, 내 이름은 타로
쓰지 않겠다면
쓰다니. 쌀 배급에서 수업도 듣지 마! (첫째 아들)로 해야겠어.
제외야! 내가 조선 총독 형이다!
불이익 저항
1940년부터 일제는 민족정신을 없애기 위해 한국인들에게 일본식 이름 사용에 반발하
일본식 이름을 쓰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거부 여 자결하거나 일본식 이름을
하자 불이익을 주거나, 강제로 이름을 바꾸게 하였다. 비꼬는 형태로 저항하였다.
보충 설명 일본식 이름 사용 강요(창씨개명)
일제는 한국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는 소위 ‘창씨개명’을 강요
하였습니다. 만일 어길 경우 학교 입학이나 공문서 발급을 금지하고, 식량과 물
자의 배급에서도 제외하였으며 우편물도 전달하지 않았습니다.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