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ele_society_5-2_teacher
P. 125
내용 ➋ 국내의 실력 양성 운동
정리 • 1920년대 들어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이 활발해짐. → 경제 • 평양에서 물산 장려 운동이 시작됨.
적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함. → 교육과 산업 • 성금을 모아 민족 교육을 위한 대학을 세우자는 운동이 전개됨.
발전으로 민족의 힘을 기르는 실력 양성 운동이 전개됨.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농촌 계몽 운동을 전개함.
국내의 실력 양성 운동
토산품 한국에서 한국인이
만든 물품.
1920년대 들어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이 활발해졌다. 이에 대항하
여 조선인의 기업과 자본을 키워 일본으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은 교육과 산업을 발전시켜 민족
의 힘을 기르는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하였다.
평양에서 시작된 물산 장려 운동은 “내 살림 내 것으로” 등의 구호를
내걸고 토산품 애용과 절약을 강조하였다. 또한 일제의 식민지 교육에
맞서 성금을 모아 우리 민족 교육을 위한 대학을 세우자는 운동을 벌였
으며,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농촌 계몽과 함께 농촌에서 글을 가르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일제의 간섭으로 중단되었다. ‘조선 물산 장려회’의 광고지
보충 설명 물산 장려 운동
물산 장려 운동의 취지는 일제의 경제 침략에 대항하여 한국인이 경영하는 기업을 육성하고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한말의 국채 보상 운동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실력 양성 운동 1920년에 평양에서 시작되었고, 1923년 서울에서 조직된 조선 물산 장려회가 중심이 되어 자
급자족·토산품 애용·소비 절약 및 금주·금연 등의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민중 속으로
“내 살림 내 것으로”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
민족의 실력을 키우
기 위해 농촌 지역에
서 농촌 계몽 운동을
일용품은 조선인 제품으로 사용할 것. 펼쳤다.
- 조선 물산 장려회(1922) -
1 의 빨간색 부분을 글로 써 보자. (오른쪽부터 읽습니다.)
답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 우리 손으로 만든 광목
2 의 포스터를 보고 무엇을 가르치려고 했는지 추측해 보자.
예시 답안
농촌 계몽과 함께 농촌 지역 사람들에게 글자를 가르치려고 하였습니다.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