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ele_society_5-2_teacher
P. 128

지도상의 유의점
                                                                일본군 ‘위안부’를 갖은 수모와 고통을 당하고 끔찍한 삶을 강요당한
                                                                피해자로만 인식시킨다면, 민족주의적 감정만 불러일으켜 일본에 대한
                                   일제의 강제 동원                    적개심과 분노만 키울 가능성이 큽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싸우고
                                                                있는 일본인, 일본 시민 단체들의 목소리도 소개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민족주의 차원을 넘어 전시 성폭력과 관련된 보편적 인권 문제
                                                                이고 세계 평화·인권 운동과 관련된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강제 징용



                             일제는  1938년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인과  각종  물자를
                           수탈하였다.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고, 일본, 중국, 사할린 등으로 끌고 가 무기
                           공장이나 탄광에서 일을 시켰다. 이들 중에서 많은 사람이 다치고 목숨을 잃었으며,

                           광복 후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1944년, 내 나이 열일곱 살 …… 부산에서 배
                           를 타고 도착한 곳이 일본 규슈 탄광이었다.
                            전등 달린 모자에 수건 같은 속옷만 걸치고, 하

                           루 3교대로 쉴 사이도 없이 일을 하였다. …… 다
                           치는 사람도 많고, 죽는 사람도 많았다. …… 도
                           망가 봐야 금방 끌려와서 삽이나 몽둥이로 두들
                               겨 맞으니 도망가지 못하였다.                             군함도  이 섬의 강제 노동에 동원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구술자료』 -          된 한국인 1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강제 징용 노동자상
              (서울특별시 용산구)            일본군 ‘위안부’


                     일제는 침략 전쟁을 벌이면서 수많은 여성을 강제로 잡아가 성 노
                   예로 삼았다. 일본군 ‘위안부’ 여성들은 전쟁 중에 많은 고통과 피해를
                   입었으며, 광복 이후에도 제대로 사과조차 받지 못하였다. 1992년 이

                   후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 단체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
                   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매주 수요일에 열고 있다.


















                                       수요 집회에 참여한 학생들                                 평화의 소녀상

                                                                     도움 영상  일본군 ‘위안부’
           12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에 피해를 입은 할머니들의
                                                                  증언을 살펴보고 매주 열리는 수요 집회의 의미를 생
                                                                  각해 볼 수 있는 영상입니다.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