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 ele_society_5-2_teacher
P. 131

내용   ➍ 민족 문화 수호 운동
                    정리   • 한글 연구: 조선어 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마련함, 『큰   • 역사 연구: 신채호가 일제의 역사 왜곡에 맞서 우리 역사가

                           사전』 편찬을 위해 노력함.                        독자적이고 자주적으로 발전해 왔음을 주장함.
                         •문화재 보호: 전형필이 전 재산을 쏟아부어 문화재를 구입함.      • 항일 문학: 심훈, 한용운, 이육사, 윤동주 등이 저항시를 씀.
                 우리 역사 연구

                   일제는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다른 민족의 지배를 받아 왔고, 스스

                 로 발전할 능력이 없다고 하며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였다.                                          왜곡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거
                                                                                          나 그릇되게 함.
                   신채호는 국권 피탈 이전에 을지문덕, 이순신 등 나라를 구한 위인

                 들의 전기를 써서 민족의 애국심과 자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나라를 빼앗긴 이후에는 일제의 역사 왜곡에 맞서 고조선과 고구

                 려가  동아시아의  강국이었음을  강조하고,  우리  역사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으로 발전해 왔다고 주장하였다.







                                                                          그날이 오면
                                                                                                심훈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은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동해                            한강 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어지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항일 문학 활동

                   「그날이 오면」은 심훈이 지은 대표적인 저항시로, 광복이 올 그날을

                 기다리는 간절한 소망을 표현하였다.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시를 읽고 감상을 이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에서 한용운, 이육사, 윤동주 등의 문학가들은                                  야기할 때 정확한 의미를 파악
                                                                                          하지 못해 어려워할 수 있습니
                 시를 통해 식민지 현실을 고발하고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다. 시가 쓰인 당시의 상황을 설
                                                                                          명하며 자신이 시인이라면 어떤
                                                                                          마음으로 시를 썼을지 생각해
                       밑줄 친 시인들의 항일 저항시를 찾아 읽어 보고 감상을 말해 보자.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 답안
                      •윤동주의 「서시」 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자아 성찰과 참회의 감정을 표현하였습니다.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31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