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2 - ele_society_5-2_teacher
P. 132
지도상의 유의점
놀이 방법을 익힌 후에 짝이나 모둠별로 미로 탈출하기 부록 성장 중심 활동지
활동을 하면서 우리 민족이 일제의 침략에 맞서 광복을
확인 평가, 서술형 평가, 형성 평가,
위해 전개한 노력을 떠올리도록 지도합니다.
수행 평가를 활용해 보세요.
1 빈칸을 채우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1 을사늑약 의 체결 1910년대 강압적인 식민 통치
-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는 - 2 조선 총독부 설치
조약으로, 강제로 체결됨.
- 헌병 경찰제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 - 토지 조사 사업
• 전국적으로 항일 의병 운동이 일어남.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
• 애국 계몽 운동을 통해 민족의 산업을 키
• 여러 비밀 조직을 만들어 항일 운동을 함.
우고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고자 함.
• 국외로 이주하여 여러 독립운동 기지를 건
• 안중근, 이재명 등이 의거 활동을 함.
설함.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저항한 전국적, 전 민족적 - 3·1 운동 이후 민족의 독립 열망을 담아 임시
만세 운동임. 정부가 수립됨.
- 평화적 만세 운동을 일제는 경찰과 군대를 동원 -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고, 3 독립신문 을/를
하여 총칼로 진압함. 펴냄.
1920년대 통치 정책의 변화 1930년대 이후 민족 말살 통치
- 헌병 경찰제 폐지 - 일본의 침략 전쟁 확대
- 한국인 교육 기회 확대 - 한국어, 한국 역사 교육 금지
- 한글 신문과 잡지 발행 허용 - 신사 참배, 일본식 이름 사용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
• 조선인의 기업과 자본을 키워 경제적으로 • 이봉창, 윤봉길이 의거 활동을 함.
일본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실력 양성 운동 • 4 한국 광복군 을/를 조직하여 국내
을 전개함. 에 진입할 작전을 세움.
• 봉오동, 청산리 등지에서 일본군을 무찌름.
•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을 전개함.
13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