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ele_society_5-2_teacher
P. 146

전쟁고아의 발생            피란 가는 사람들의 행렬








              내용 정리                6・25 전쟁의 결과
           ➋ 6·25 전쟁의 결과
           •수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침.           6·25 전쟁의 결과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군과 북한군,
           • 수많은 이산가족과 전쟁고아들이
             생겨남.                  국제연합군이 전투 중에 목숨을 잃었고, 수많은 민간인이 다치거나 죽
           • 생산 시설, 건물, 도로, 철도 등 주
             요 시설물이 파괴됨.           었다. 또한 전쟁으로 함께 살던 가족이 뿔뿔이 흩어져 수많은 이산가
           • 수많은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불타
             없어짐.                  족과 전쟁고아들이 생겨났다. 피란을 가지 못한 사람들은 점령군이 바
           • 남북한이 서로에게 적대감과 상처
             를 남김.                 뀔 때마다 국군과 북한군에게 도움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고통을 겪거
           • 이산가족 문제, 남북 교류와 평화                                    수업 제안
             통일 문제 등이 과제로 남아 있음.   나 죽음을 당하기도 하였다.
                                                                 6·25 전쟁 인명 피해 중 민간인 피해를 다룰 때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등 민간인 학살 문제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이 발생해서는 안 되고, 평화
                                                                 로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일로 나아가야 하는 당위성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6·25 전쟁 중 군인의 사상자 수                        6·25 전쟁 시도별 민간인 인명 피해


                                4만 670명                                   (단위: 명)                0~5만
                                                        한국군   유엔군                                5만~10만
                   전사 13만 7,899명  총 17만 8천 명
                                                                                                 10만~15만
                                                                                 서울      강원      15만~20만
                                                                               12만 9,908  13만 777
                   부상           45만 742명         10만 4,280명 총 55만 5천 명            경기
                                                                               12만 8,740
                                                                                     충북
                     0     10    20    30     40    50    60     70(만 명)       충남    7만 3
                                                                              7만 5,409     경북     동 해
                                                                           황 해           9만 7,851
                                                                                 전북
                   전사            52만 명(부상 포함)         11만 6천 명 총 63만 6천 명      9만 1,861
                                                                                         경남
                                                                                        7만 2,306
                                                                                 전남
                                                                               19만 3,788
                   부상  미상       22만 명
                                                        북한군   중국군
                                                                                                  제주
                                                                                       남 해
                     0     10    20    30     40    50    60     70(만 명)                          325
                                                     [출처: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출처: 내무부 통계국, 『대한민국 통계연감』, 1955]

           14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