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ele_society_5-2_teacher
P. 147

전 국토는 황폐해졌고 생산 시설과 건물, 도로, 철

                 도  등  주요  시설물이  파괴되어  복구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갔다. 또한 숭례문, 보신각 등 수

                 많은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불타 없어지기도 하였다.

                   6·25 전쟁은 남북한 서로에게 적대감과 상처를 남
                 겼고, 이산가족 문제, 남북 교류와 평화 통일 문제 등

                 은 현재까지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폐허가 된 세종로

                             도움 영상  이산가족                         보충 설명   6·25 전쟁의 경제적·사회적 결과
                           6·25 전쟁이 낳은 비극인 이산가족의               6·25 전쟁으로 산업 생산 시설뿐만 아니라 일반 주거용 주택이 약 60만 호가
                           아픔을 보여 주는 영상입니다.                    파괴되었으며, 철도는 전체 시설의 약 47%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도로와 교
                                                               량 등 사회 간접 자본의 훼손도 매우 컸습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민족 대이동
                                                               을 초래하였습니다. 6·25 전쟁 동안에만 약 29만 명이 월북하였거나 납북되
                                   6·25 전쟁이 남긴 상처              었으며, 약 45만∼65만 명이 월남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통문
                                                               화가 해체되었습니다.
                                  이산가족 문제                                        해외 입양  문제


                      6·25  전쟁  이후                                   6·25  전쟁으로  1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가

                    우리나라에서는 수                                      생겨났다. 이들을 돌보고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많은 이산가족이 생                                     겪자 정부에서는 1954년부터 사회 복지 기관을
                    겨났다. 이후 흩어진                                    통해 해외 입양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산가족을 찾기 위                                       부모를 잃은 수많은 아이는 미국을 비롯한 외

                    해서 1983년에 KBS                                  국으로 입양되었다. 1980년대에 우리나라 경제
                    에서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의 상봉                가 발전하면서 해외 입양은 크게 줄었으나, 여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방영되었다.                           전히 계속되고 있다.

                      10만 건이 넘는 신청이 접수되었고 5만 건이

                    방송에  소개되어  10,189건의  이산가족이  상봉
                    하였다. 아직까지도 수많은 이산가족이 가족을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지만, 신청자들이 고령

                    화되면서 이산가족을 만날 가능성은 점점 줄어

                    들고 있다.
                                                                         전세기 편으로 미국에 도착한 한국 입양아들
                             지도상의 유의점
                           6·25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가족 문제와 해외 입양 문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1953년 7월 (     휴전선     )이/가 그어지면서 남과 북이 분단되었다.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7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