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 ele_society_5-2_teacher
P. 143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의 비교 지도상의 유의점
두 헌법의 비교를 통해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 법통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도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을 비교해 보자.
록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밑줄을 치게 합니다.
가 대한민국 임시 헌법(1919년)
보충 설명 대한민국 임시 헌법
우리 대한 인민은 독립국임과 자유민임을 선언하도다.
일제 강점기 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
제1장 총령 민국 임시 정부의 헌법으로, 3·1 운동
제1조 대한민국은 대한 인민으로 조직한다. 의 정신을 계승하고 3·1 운동 이후 국
내외에서 수립된 여러 정부가 제정한
제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대한 인민 전체에게 있다. 법률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제4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모두 평등하다.
나 제헌 헌법(1948년)
우리 대한 국민은 3·1 운동으로 건립한 대한민국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이제 민주
독립 국가를 다시 세운다. …… 사회의 나쁜 관습은 없애고 민주주의 제도를 수립하여……
제1장 총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다.
제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1 나 의 제1조와 관련된 단어를 가 에서 찾아 동그라미 해 보자.
2 가 , 나 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주권자는 누구인지 말해 보자.
답 국민
3 1, 2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가 와 나 의 관련성을 정리해 보자.
제헌 헌법은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을/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1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남한과 북한은 1948년 5월 10일 동시에 선거를
×
실시하였다. ( ◯, )
×
2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 ◯, )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