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ele_society_5-2_teacher
P. 139

수업 PPT           • 한반도의 분단 과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9~20
                                                 수업 목표
                         DVD
                     2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25차시





                                         의미를 알아볼까요                                   ➊ 한반도의 분단
                                                                                        내용 정리

                                                                                     • 광복 이후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옴. → 한반도에서
                                                                                      군정이 실시됨.
                                                                                     • 임시 군사 분계선인 38도선이 분단선으
                 한반도의 분단                                                              로 점점 굳어짐.

                   광복 이후 한반도에 남아 있던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무장 해제  항복한 군인의 무기
                                                                                          를 빼앗거나 못 쓰게 하는 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었다.                                                                     군정  군대가 한 나라의 정부
                                                                                          를 대신하여 해당 지역을 다스
                                                                                          리는 것.

                                                                             보충 설명  38도선 설치
                    38도선 이북에 도착한 소련군(1945.8.)                              38도선 설치는 표면적으로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의 무장 해제 이후 38도선
                                                                           은 미국과 소련 양 주둔군의 경계선이 되었습니다. 미소
                                                                           양측은 1946년과 1947년에 각각 1차례씩 38도선의 정확
                                                                           한 위치 판정을 위해 조사 활동을 벌였습니다. 미소 양측
                                                                           이 사소한 38도선 충돌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엄격
                                                                           한 조사를 수행함에 따라 한국인도 점차 38도선이 미소
                                                                           간의 경계일 뿐만 아니라 남한과 북한을 나누는 경계선
                                                                           이자 국경선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  해
                                                                                      38도선
                                                                                      38°N
                  북한에서는 소련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황  해






                     38도선 이남에 도착한 미군(1945.9.)

                                                                      남  해








                                                                                임시로 설정되었던 군사 분계선인 38
                                                                                도선은 점점 굳어져 갔고, 38도선을 넘
                                                                                나들면서 이루어지던 교류가 끊어졌다.
                  남한에서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39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