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ele_society_5-2_teacher
P. 56
17~18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26차시
민족 문화를 문화 발전에 힘쓴
조선을 세우거나
조선의
인물들의 업적 알아보기
건국과
지켜 나간 조선 지켜 나간 조선 전기의 문화 발전과 국가적 위기의
발전 과정을
민족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 모습 살펴보기
조선
극복 노력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탐색하기
과정을 알고 위기
극복의 노력 탐색하기
성취 기준
[6사03-05] 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 대왕, 신사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 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해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조선을 세우는 데 힘쓴 인물들의 업적을 말할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같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업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유민이와 친구들은 세종 대왕의 동상 앞에서 한국말로 이야기하는 외국인을 보았습니다.
한글은 글자를 나는 하루
조합해서 만드는 배우고 한글을
방법을 알면 쉬워. 읽을 수 있었어.
도입 자료 소개
한글은 세종이 만든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글자의 모양과 소리에 여러 가지 과학적 원리
가 담겨 있습니다.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기 때문에 글자 모양만 보고도 그 글
자의 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같은 계열의 문자를 만들었습니
다. 모음은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뜬 ‘·’와 땅의 평평한 모양을 본뜬 ‘ㅡ’,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본뜬 ‘ㅣ’를 결합하여 만들었습니다. 제시된 자료를 보고 한글을 사용하면서 우리의 생활과 문
화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저기 외국인들이
한글을 읽고 있어.
56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