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ele_society_5-2_teacher
P. 92
내용 ➎ 조선 후기에 나타난 변화
정리 • 모내기법과 상품 작물 재배로 농업 생산력이 •포구와 장시가 상업 중심지로 발달함.
높아짐. • 청에 다녀온 사신들이 청에서 세계 지도,
•농업 생산량 증가 → 상업의 발달로 이어짐. 과학 기술 서적, 자명종 등을 들여옴.
농업의 발전
모내기법과 상품 작물 재배로 농업 생산력이 높아졌다. 이에
일부 농민들은 부자가 되었지만, 그렇지 못한 농민들은 머슴이
조선 후기에는 되거나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야 했다.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조선 후기에는
경제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났어요.
「모내기」(독일 게르트루드클라센) 모내기법은 김홍도, 「담배 썰기」(국립중앙박물관) 담배와
벼를 모판에 길렀다가 논에 옮겨 심는 농법으 같이 상품으로 팔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하여
로, 이를 통해 곡식 수확량이 크게 늘어났다. 벼농사보다 높은 소득을 얻었다.
보충 설명 모내기법의 이점
직파법으로 벼를 키울 경우 4~5번 정도 김매기를 해야 하는데, 모내기법에서는
상업의 발전 2~3번 정도 하면 됩니다. 또 모판과 논의 힘을 이용하여 벼를 기를 수 있으며, 모
내기 과정에서 좋지 않은 모를 솎아 내고 튼튼한 모를 고를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량의 증가는 상업 발달로 이어졌다. 물자가 모여드는
포구 배가 드나드는 곳. 포구와 장시가 상업 중심지로 발달하였다.
김홍도, 「주막」(국립중앙박물관)
주막은 장사하는 사람이나 오가는 사람에게
음식과 잠자리를 제공하였다.
보충 설명 장시
조선 시대에는 전문 상인보다는 직접 농사지으면서 물
건을 사고파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매일 점포를 여
는 시장보다는 5일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5일장이 더
적합하였습니다.
장시 전국 곳곳에 5일마다 한 번씩 열리는 김홍도, 「장터길」
5일장이 들어섰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사고팔았다.
9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