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ele_society_5-2_teacher
P. 88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 영조와 정조의 개혁 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1                   • 조선 후기에 나타난 사회 변화의 모습을 말할 수 있다.                    를
                                   영조와 정조의




                                   알아볼까요                     내용 정리


                                                          ➊ 붕당 정치의 전개
                                                          • 조선의 지배층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학문을 연구함.
             지도상의 유의점                                      → 붕당을 이루어 정치를 이끌어 나감.
                                                          • 상대 붕당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서로의 정책을 비판하고 견제함. → 점차 붕
           탕평 정치를 공부하기에 앞서 임
                                                           당 간 의견 대립이 발생하고 서로 경쟁이 치열해짐. → 한 붕당이 권력을 독
           진왜란 전후 붕당 정치의 흐름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지만, 구체      영조의 탕평 정치               차지함.
           적으로 붕당을 구분하여 나열하지
           않도록 합니다.                   조선의 지배층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학문 연
           붕당  학문적·정치적으로 생각        구를 하였다. 이들은 붕당을 이루어 정치를 이끌어 나갔다. 처음에는
           을 같이하는 정치 집단.
                                   상대 붕당의 의견을 존중하고 학문적 차이를 인정하는 한편, 서로의

                                   정책을 비판하고 견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점차 붕당 간의 의견 대

                                   립이 발생하고 서로 경쟁이 치열해졌다.

                                      영조는 붕당 간의 대립을 줄이고 한 붕당이 권력을 독차지하는 것

           탕평책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을 막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탕평책의 실시로 왕권이 강화되고
           나랏일을 함께할 인재를 고르
           게 뽑아 쓰는 정책.             정치가 안정되었다.                        도움 영상  영조의 탕평책
                                                                  영조가 시행한 탕평책과 균역법 등 백성을 위한 개혁 정책을
                                                                  소개하고 그 성과를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붕당 간의 대립                                         탕평책 실시



                 조정에서 각 당파가 날이 갈수록 사이가 나                             두루 사귀며 편을 나누지 않는 것은 군자의
                빠져 서로 역적이란 이름으로 모함하니 ……                          마음이요, 편을 가르고 두루 사귀지 않는 것
                                   - 이중환, 『택리지』 -                은 소인의 마음이다.
                                                                                             성균관에 탕평비를
                                                                                            세워 나의 탕평 의지를
            저들은 역적의
                                                                                               널리 알려라!
           무리이니 엄한 벌을
             내리소서!









                  보충 설명  붕당 정치
                선조 대 이후 학맥이나 학파에 기반을 둔 분파가 동·서인의 붕당
                으로 결집되면서 공론에 의한 정치를 지향하고 정권을 차지하기                  탕평비(서울특별시 종로구)
                위한 붕당 간 경쟁이 전개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치 운영 형태를
                붕당 정치라고 부릅니다. 선조 대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하
                였고, 숙종 대 서인은 소론과 노론으로 나뉘었습니다.

           8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