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ele_society_5-2_teacher
P. 86
1~2
새로운 사회를 새로운 사회를
25차시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만들려는 노력과
향한 움직임 새로운 조선 후기 서민의 변화 모습을
그 의의 알아보기
새로운
사회의
사회를 향한
탐색하고
작품 조사하기
움직임 생활 모습이 담겨 있는 사회 개혁을
위한 노력
조선의 자주독립을 탐색하기
지키는 과정에서
나타난 서로 대립되는
주장이나 생각
비교해 보기
호야는 국립중앙도서관에 갔다가 조선 시대 세책점을
그대로 만들어 놓은 전시실을 보았습니다.
영・정조의 개혁 정책과 성취 기준
서민 문화의 발달을 통해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조선 후기 사회 모습을 알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수 있습니다. [6사04-02]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인물(정약용, 흥선 대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사람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조선의 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서로 다른
주장이나 생각을 살펴보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책방이
있었구나.
도입 자료 소개
17~18세기에 이르러 한문 소설은 물론 한글 소설이 널리 퍼지고 인기를 얻으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직업이 등장하였
습니다. 그중에는 책을 베껴 쓰는 필사쟁이, 책을 빌려주는 세책점 주인,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돈을 받고 소설을
읽어 주는 전기수 등이 있었습니다. 조선 후기에 사람들이 좋아하고 가장 많이 읽은 책은 한글 소설이었는데, 특히 신분
을 뛰어넘는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춘향전』이나 탐관오리를 응징하는 홍길동의 활약을 다룬 『홍길동전』 등이 인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한글 소설은 주요 독자층인 여성이나 서민층이 가진 사회에 대한 불만이나 소망을 담아냈습니다.
8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