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5 - ele_society_5-2_tutor
P. 115
공통된 의견을 가진 집단으로 교육하면서, 반일본 정서를 부추길 수도 있는 문제가 나타
나고 있다. 독도 교육의 목적은 갈등과 분쟁이 아니라 평화로운 공존과 환경 보전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다. 사회과 독도 교육의 방향
인간의 생동하는 삶 속에 존재하는 독도를 통해 그 안에 담긴 사람들, 환경과 보전, 일
상적인 삶의 이야기를 나누는 현재와 미래의 독도 교육을 만들어 가야 한다. ‘주변국과의
역사 갈등 해소를 통한 평화롭고 번영하는 미래 추구’라는 독도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본의 주장과 역사관을 살펴보고 교육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 방안을 모
색해 나가야 한다(김은희, 2020: 118). 이러한 관점에서 독도 교육은 독도의 생태계, 자
연환경, 역사 등 여러 분야에 대한 학습으로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해야 한다.
독도 교육은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논리적이고 이성적
인 토론 교육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독도 교육 시에는 한국인과 일본인을 이분법적으
로 구분하지 않게, 다양한 목소리를 지닌 집단들의 주장들을 살펴볼 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일본 내에서도 독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다는 점을 여러 자료를 통해서
교육할 필요도 있다.
9 경제 · 금융 가. 경제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교육 초등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은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경제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그에 기초하여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경제 문제를 해결하며, 실생활에
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데 있다.
요컨대 경제 교육은 첫째, 경제 현상들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를 습득하고, 둘째, 일상
생활에서의 경제 문제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개념과 원리는 경
제 현상을 추론하고 탐구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상생활은 기본적으로 소비와 생산의 경제활동으로 구성된다. 종래 학생들은 경제 능
력이 없기 때문에 독립된 경제 주체라기보다 가계의 의존자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경제
주체를 생산에만 초점을 맞추어 정의하는 것은 시대적 변화와 괴리된다. 최근 가정 내 자
녀수의 감소로 자녀의 지위가 높아졌고, 경제 성장으로 인한 가계의 소득 수준이 향상하
면서 자녀의 자유재량 소비액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단기 혹
은 임시 고용(아르바이트) 형태로 취업하는 경향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독립된 노동의 주
체가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소비, 생산, 노동, 저축, 투자, 유통 등 여러 측면
의 경제 교육을 통해 현재의 경제활동 및 성인이 된 후에 합리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
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소비나 유통은 어른들에
게만 국한되지 않고 초등학생도 직접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경제 교육을 실시해
야 한다.
113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