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 ele_society_5-2_tutor
P. 119
• 장의선, 지리 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 체계 개
발, 대한지리학회지, 2019, 54(2), 251~269
• 장의선, 지리 용어에 대한 학습자의 블러핑(Bluffing)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지, 2014, 49(4), 615~632
• 전숙자, 『사회과 교육의 통합적 구성과 교수-학습 설계』, 교육과학사, 2002
• 정선영 외, 『역사 교육의 이해』, 삼지원, 2012
• 조철기, 『지리 교육학』, 푸른길, 2014
• 차경수, 『현대의 사회과 교육』, 학문사, 1996
• 차경수·모경환, 『사회과 교육(제 2판)』, 동문사, 2017
• 최석진·최경희·김동근·김이성, 『환경교육론』, 교육과학사, 2014
• 최용규 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2차 수정판)』, 교육과학사, 2014
• 통일부 통일 교육원, 『통일 교육 지침서(학교용)』, 2008
• 한면희,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6
• E. Jones, & L. Derman-Sparks, “Meeting the Challenge of Diversity”, Young
Children, 1992, 47(2), 12~7
• James A. Banks,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s,
and Practice”, in J. A. Banks (eds.), Divers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Perspective, San Francisco: Jossey-Bass, 2004, 3~15
• Bruce Joyce & Mars Weil, MODELS OF TEACHING(5th ed.). Prentice.HaII of
India. 2003:121
•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 (1999) All Our
Future: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The Robinson Report). London: DfEE.
• [네이버 지식백과]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 (손에 잡히는 IT 시사용어, 2008. 2.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501&cid=59277&categoryId=59278
• [네이버 지식백과] 진로 교육 [career education, 進路敎育] (상담학 사전, 2016. 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6436&cid=62841&categoryId=62841
117
6.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