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ele_society_5-2_tutor
P. 111
6 다문화 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교육 다문화주의는 성별·종교·직업·계층·인종 등에서 비롯되는 각 사회 집단들의 고유한 문
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주류 또는 비주류 집단들의 문화를 동등하게 여기고 존중하는 것
이다. 이는 평등성과 관련이 깊으며, 이러한 다문화주의를 학생과 그의 가족들에게 교육
시키는 것을 다문화 교육이라고 한다.
다문화 교육은 크게 국가 단위의 다문화 교육과 국가 단위를 넘어서는 지구적 다문화
교육으로 구분한다. 전자의 경우 그 국가나 사회의 인구 구성을 고려하여 다문화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만, 후자의 경우 그 사회의 인구 구성과 관계없이 문화적 다양
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규범적 시각에서 다문화 교육을 논의하게 된다. 뱅크스,
모리스, 린치, 베이커, 데이비드먼 등 문화 교육 전문가들은 글로벌 다문화 교육이 필요
하다고 주장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교육이 아직까지 국가
나 국가 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하에 있기 때문에 교육을 실행하는 지역의 문화적 맥락
과 떨어져서 추구될 수 없다. 따라서 세계 여러 국가는 각 나라의 인종적·민족적·언어적·
젠더적·계급적·인권적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다문화 교육을 구상하고 실천한다. 이를테
면 미국에서 다문화 교육은 인종에 기초한 복수의 문화를 상정하면서 추구되기 시작했지
만, 최근의 다문화 교육은 인종만이 아니라, 민족, 사회 계급, 젠더, 지역, 성적 기호, 신
체적 특징 등을 포함하여 문화를 구별하는 여러 층위의 범주를 상정하면서 추구된다.
한국에서 다문화 사회라는 개념은 인종 및 민족이 다양한 인구 구성을 보이는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의 사회적 특징을 분석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단일 민족’과 ‘고
유한 민족 문화’ 담론의 지배를 받았던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데
는 적합하지 않은 개념으로 간주해 왔다. 즉 한국은 여러 인종과 민족 집단들이 어울리거
나 갈등하면서 역사를 만들었던 나라와 달리, 하나의 민족이 외부의 민족에 저항하면서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는 인식이 교육에 다문화적 문제의식을 반영하기 어렵게 하
였다. 그런데 인종과 민족이라는 범주만으로 문화의 차이를 분석할 수는 없다. 전 지구화
추세 속에서 국가와 문화의 경계를 넘는 이주와 문화 혼합이 일상화되면서 문화 다양성의
논의도 국가와 민족의 틀을 벗어나고 있다.
한국에서 다문화 교육은 최근 몇십 년 동안 국제결혼 이주 여성, 외국인 노동자, 북한
이탈 주민 등의 증가라는 상황 속에서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구 구성적인 측면
만 보더라도 한국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교육이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에서
논의되고 실행되는 다문화 교육과 달라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한국적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젠더, 연령, 계급, 직업, 종교, 신체적 조건 등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회 집단들이 자
신들의 문화를 소외시키고 있는 소위 ‘주류’ 또는 ‘보편’ 문화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
면서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구성원들의 다층적 정체성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사
회, 경제, 민족, 인종, 종교, 성, 연령 등에 따른 다양한 집단의 문화 창조적 주체로서의 역
동성과 그들 문화들 간의 상호 작용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109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