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ele_society_5-2_tutor
P. 106

3   진로            가. 진로 교육의 개념
               교육               진로 교육이란 “개인의 잠재력과 일이나 여가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탐색하여 자신

                              에게 적합한 진로 선택, 진로 적응, 진로 발달을 돕기 위한 학교, 가정, 지역 사회의 조직
                              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상담학 사전)이다.


                              나.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
                                진로 교육은 1907년 미국에서 직업 상담으로 출발, 이후 교육 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발

                              전하였다. 오늘날에는 생애 교육, 평생 교육의 범위에서 진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로 교육은 교과 과정을 통한 학습, 교과 과정 이외의 활동을 통한 교육, 진로 정보의 제
                              공, 진로 선택을 안내하는 진로 지도, 진로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조력하는 진로 상담 등

                              을 포함한다(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 01. 15.).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은 학생이 자신을 알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서 출발한다. 학교
                              는 학생의 정체성·성격·흥미·재능을 탐색하고, 가치관·사회관·인간관 등을 정립할 수 있
                              게 사유하는 방법을 알려 주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탐색하고 다양한 직업 세계와 접촉할 수 있다.

                                장기적인 진로 교육 과정에서 초등학교 진로 교육 목표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다양
                              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이다.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
                              기르기,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 키우기,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 기르기,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

                              고 협동하는 태도 기르기 등이 진로 교육과 연결된다.

                              다. 사회과에서의 진로 교육

                                사회과는 시공간 차원에서 사회를 다루는 교과로써 과거와 현재, 한국을 넘어 세계의
                              다양한 직업과 직간접적으로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과의 내용 지식이 직업 자체를
                              다루지는 않는다. 그러나 학습 과정에서 여러 직업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기회를 제공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문 제작, 인터뷰, 역할극, 그림 그리기, 작사하기, 만화 그리기,
                              음식 만들기, 무형 문화재 체험 등이다. 또한 사회 조사나 현장 탐방을 통해 직접 직업의
                              현장에 가 볼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학생에게 진로의 문제를 생각해 보게 적
                              절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인권            가. 인권의 개념
               교육               보통 인권을 사람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인간이 인간답게 살 권리를 의미한다고 이

                              해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피상적인 정의에 불과해서 그 개념의 역동성을 파악하기 어렵
                              다. 인권 개념은 역사적 맥락에서 변해 왔고, 국가마다 실정법을 통해 다르게, 그러나 구

                              체적으로 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권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인 믿음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에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


           104    총론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