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 ele_society_5-2_tutor
P. 101

<평가 기준 예시>

                                       평가 요소            배점             상              중              하
                                      자료의 신뢰성

                                      자료의 정확성
                                      자료의 다양성

                                      자료 선택의
                                        탁월성
                                      자료 구성의
                                        적절성
                                         ……

                                      역량의 개선 /
                                       향상 정도
                                         총점             100






                  5   평가 결과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과 평가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판정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학습자의 학

                                        습 능력과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를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평가 결과의 활용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이유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지식과 기능의 습득과 활용, 가치·태도의 함양이 창의·융합적으

                                    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교과별 핵심 역량을 키우는 것이 개정의 주된 이유이다. 그리고
                                    이러한 취지는 성취 기준과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따라
                                    서 평가의 내용과 방법, 평가 결과의 활용은 교사의 수업 전략과 과정에서 피드백되어야
                                    하고, 학생의 발달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보충해 주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어

                                    야 한다. 궁극적으로 개별 학생이 창의·융합적 인간으로 성장함에 현 단계와 수준이 어떤
                                    지를 진단하고, 그에 적절하도록 평가 방법이 선택되고 평가의 결과 역시 활용되어야 한다.
                                     같은 수업 내용이라도 학생의 현 단계와 수준에 따라 양적 평가가 더 필요한 학생이 있
                                    을 수 있고, 질적 평가가 더 적절한 학생이 있을 수 있다. 또, 학습자의 학습 동기나 의욕
                                    을 촉진하는 평가 방법이 적절한 학생이 있을 수도 있고, 탐구욕을 더욱 충족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효과적인 학생이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평가 결과는 교사의 수업과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피드백 자료로서는 물론
                                    이고, 모든 학생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지닌 창의·융합적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별 학생의 발달 정도나 수준에 정합하는 평가 방법의 선택 및 조합을 위해서

                                    도 활용되어야 한다.


                                                                                                           99
                                                                                             4. 사회과의 평가 방법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