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ele_society_5-2_tutor
P. 102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







            1   안전·건강         가. 안전 교육의 필요성
               교육               초등학교 안전 교육은 일상생활에서 불시에 찾아올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학생이 자신

                              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지식, 지능, 태도를 가르치는 것이다. 안전 교육의 목적은 학생
                              이 건강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이 통제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사고, 예를 들면 지진이나 해일,
                              폭우 등과 같은 자연재해, 건물 붕괴나 화재, 테러, 납치나 유괴 등과 같이 불의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생명을 지키기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을 지도하는 것이다.
                                둘째, 교통사고, 약물 중독, 게임 중독, 폭력, 학대 등과 같이 학생의 정신적·신체적 건강

                              과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위험 상황을 가르쳐서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최근 교통사고나 아동 학대로 인해 상해를 입거나 사망하는 아동의 숫자가 점점 증
                              가하고 있다. 초등학생들은 어떤 상황이 위험한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횡단보도에서 좌우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건너거나, 자동차들이 많이
                              다니는 큰길에서 앞뒤를 살피지 못하고 자전거를 타고 가다 사고를 당하는 등 교통사고의

                              위험을 잘 인지하지 못한다. 또 무방비 상태에서 주변 사람들의 학대나 폭력에 시달리는 경
                              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초등학생은 자기 조절 능력이 성숙하지 못하여 약물이나 게임에
                              쉽게 중독될 수 있으며, 사회 경험이 많지 않아서 언어와 신체적 가해나 피해가 가져올 심
                              리적·육체적·사회적 결과에 대해 예측하지 못한다. 이러한 초등학생의 발달과 경험을 고려

                              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수 있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안전은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다. 초등학교에서 안전 교육은 기본적으로 생명 존중의 정
                              신과 자아 존중감을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한다. 타인은 물론 자신의 건강과 생명이 중요
                              하므로 학생들이 어른들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고, 또 여러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
                              호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안전 교육은 사건이나 사

                              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사건이나 사고 발생 시 학생들이 대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실생활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나. 안전 교육의 목표와 내용

                                안전 교육은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의의 사건과 사
                              고로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대처 능력을 키워 주고, 주위 환경에서 잠재 위험을 발
                              견하고 제거할 수 있는 생활 태도(김은주, 박남수, 2003: 49)를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
                              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부딪힐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

                              한 지식, 기능, 태도를 가르쳐야 한다. 학교에서는 교과 연계 및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100    총론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