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ele_society_5-2_tutor
P. 104

2   창의·인성         가.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
               교육               2007 개정 교육과정 개발 이래 미래 교육의 핵심 키워드로 ‘핵심 역량’ 및 ‘창의·인성 교

                              육’에 주목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개발 단계에서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하
                              기 시작하였다(이근호 외, 2012). 2007 개정에 이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지
                              식 중심의 획일화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모델을 지양하고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호 협력하고 공존하는 인재 양성의 목표를 분명히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지향은 변함이 없다.
                                세계 여러 나라는 21세기에는 학교 교육이 경쟁을 부추기고 서열화를 촉구하는 패러다
                              임에서 벗어나 창의 교육으로 나가도록 교육 개혁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설정의 이면에는 지식 기반 사회, 네트워크 사회로의 변화 인식과 구성주의 교육 패러다
                              임의 변화가 있다. 이제 학교가 학습자에게 특정한 교과 지식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방식
                              은 교육적 의미를 갖지 못한다.
                                학교는 학습자가 인터넷 등 다양한 통로를 통해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비판적으
                              로 분석하고 활용하여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며, 시대

                              가 요구하는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에 기초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과 역할도 재조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이
                              근호 외, 2012).
                                인성 교육 진흥법 제2조는 인성 교육을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

                              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
                              로 하는 교육”으로, 핵심 역량을 “핵심 가치·덕목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실천 또는 실
                              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공감·소통하는 의사소통 능력이나 갈등 해결 능력 등이 통합된
                              능력”으로 정의하였다(박주현, 2016: 3).
                                인성 교육은 단순히 교육과정 문서에 표명하는 것을 넘어 학교 교육을 인성 교육 중심

                              으로 재편하는 실질적 조치를 통해 강화하고 있다.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인
                              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장기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학교 폭력이나 학생 자살과 같은 사회적 현안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시작했지만, 미래 사
                              회를 대비한 교육 차원에서 학생의 소통과 협력 능력, 나눔과 배려 능력의 제고라는 거대

                              한 교육 계획 속에서 진행하고 있다(박주현, 2016: 3).




                              나. 창의·인성 교육의 목표
                                창의성은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발휘될 수 있고, 인간 지능의 모든 영역에서 끌어

                              낼 수 있다. 창의성은 일반적인 특성보다는 영역 또는 분야별 특수성이 강해 영역마다 창
                              의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다르다. 그리하여 창의성은 측정하기 난해하며, 성공하지 못
                              한 창의성을 창의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 문제에 대해 ‘영국 창의력과 문화 교육 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NACCCE, 1999)에서는 창의성이 ‘상상적인 활동을 통


           102    총론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