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ele_society_5-2_tutor
P. 109
다. 사회과에서의 인권 교육
인권 교육의 내용은 방대하며 기법은 다양하다. 인권 교육은 사회과만의 관심은 아니지
만, 인권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교과는 사회과이다.
사회과 5학년에서 자유주의 시각에서 인권을 정의하고 인권 존중의 태도를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학생들은 타인에 감정 이입을 하여 인간의 존엄, 평등과 같은 개념을 일상의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더불어 인권 개념을 가르칠 때 현재의 인권 개념으로 조선 시대를 설명하려는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다룬 바와 같이 인권은 서구에서 들여와 적용
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도 인간 존중의 사상은 있었다는 점을 숙지하
고 과거 인권을 위해 애쓴 사람이나 제도에 대해 과거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인권 교육뿐 아니라 행동적 측면에서 학생에 대한 인권이 보
호되어야 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배려 교육을 통해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법
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5 민주 시민 가. 민주 시민 교육의 개념
교육 민주 시민 교육은 민주주의 원리에 기초한 시민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때 민주주의는
정치 이념이자 원리이며, 사회생활의 원리이기도 하다. 민주 시민 교육이란 민주 시민으
로서 사고, 판단, 행위를 하는 데 요구되는 개념·지식·능력·태도를 교육하는 것이다. 민
주 시민은 민주적인 절차와 민주적인 태도에 기초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
이다. 민주 시민은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면서도 여러 개인들이 모인 사회의 안녕과 발전
을 도모한다.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지리, 역사 분야의 지식이나 개념,
인문 소양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념과 지식을 활용한 사고 및 판단
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회 참여 방법 등의 교육도 필요하다. 간혹 민주 시민 교육을 정치
교육으로 좁게 정의하거나 오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나. 소셜 미디어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
최근에는 참여 민주주의 이론에 기초한 민주 시민 교육을 구상하는 경향이 있다. 역사
적으로 민주주의는 대체로 대의 민주주의라는 제도를 통해 작동해 왔으나, 인터넷이 등
장하면서 직접적인 소통과 참여가 용이해지고 있다. 남녀노소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권위적인 수직적 위계 구조의 네트워크가 수평적 네트워크 형태로 변
하게 되어 정치 참여의 주체로서 개별 시민의 자율성, 독립성, 영향력이 크게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소셜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직접적인 사회 및 정치 참여가 확
대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107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