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ele_society_6-1_tutor
P. 20

나. 성취 기준

                              초등학교 3~4학년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이 단원은 삶이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토대인 우리 고장의 옛날과 오늘날의 모습을 살펴
                              보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우리 고장에 대

                              해 이해하고 자긍심을 기르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 고장에 대한 심상 지도를
                              통해 서로의 장소감을 공유하고, 여러 지형지물의 위치를 중심으로 고장의 실제 모습을
                              파악한다. 또한 우리 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나 문화유산을 통해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
                              와 특징을 파악한다. 아울러 일상생활에서 이용하는 교통 및 통신수단의 발달 과정과 이
                              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살펴본다.




                              <우리 고장의 모습>



                                [4사  01-  01]   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 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4사  01-  02]   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
                                           에 재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가) 학습 요소

                              •  장소감의 표현과 공유, 고장 내 주요 지형지물의 위치와 분포 파악, 고장의 실제 모습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표현하고, 이와 함께 디지털 영상 지도 등
                                 을 활용하여 고장의 실제 모습을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4사 01- 01]에서는 학생 각자가 작성한 심상 지도를 비교하여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공유하도록 한다.

                              •    [4사 01- 02]에서는 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산, 강이나 바다, 간선 도로, 학
                                 교, 건물 등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장 내 주요 지형지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백지도에 재배치하는 학습을 통해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히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교수·학습의 과정은 고장에 대한 심상 지도 그리기, 장소감 나누기, 고장 내 주요 지
                                 형지물(산, 하천, 도로, 건물, 자기 집, 학교 등)의 위치 파악하기, 고장의 실제 모습

                                 정리하기 등의 활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심상 지도 그리기’에서는 고장 내 장소 관련 경험담, 사진 자료 등을 주요 자료로 활

                                 용하고, ‘장소감 나누기’에서는 학생 각자가 작성한 고장의 심상 지도를 활용한다. 이

                                 어 ‘지형지물의 위치 파악하기’에서는 디지털 영상 지도를, ‘고장의 실제 모습 정리하
                                 기’에서는 고장의 주요 지형지물을 표시한 백지도를 만들어 활용한다.


           18   총론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