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ele_society_6-1_tutor
P. 29
별로 할당하여 탐구하도록 한 다음에 종합하는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
• 지역 중심지 교수·학습의 경우 먼저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중심지의 위치
를 지도에서 확인한 후에 자료 분석이나 답사 활동을 토대로 중심지별 기능 및 경관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활동을 전개한다. 이 경우 모둠 활동을 통한 집단 사
고와 협동 학습이 적절할 것이다.
• 중심지 학습에서는 공간 범위가 지역 규모로 확대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며, 중심지 탐
색 과정에서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시·도 규모의 지역 범위를 전체적으로 살피도록
할 필요가 있다. 탄력적 환경 확대법을 적용하여 중심지 탐색의 범위를 고장 규모는
물론, 시·도 행정 경계를 넘어 이웃 지역으로도 확대할 수 있다.
• 축척 학습의 경우 분수나 비율식을 통한 거리나 면적의 산술적 계산 활동, 대축척과
소축척의 구분 활동 등은 지양한다. 그 대신 지도상에 제시된 줄인자(축척 막대자)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거리감을 익혀 축척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
• 지도의 기본 요소에 대한 학습 활동에서 요소별 파편적인 이해보다는 다양한 형식의
일반도나 주제도에 나타난 쓰임새를 통해 맥락적인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지도의 기본 요소에 대한 평가의 경우 기본 요소의 필요성 이해와 실제 생활의 활용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방위 기입이나 기호 식별과 같은 탈맥락적인 지필 검사
보다는 실제 방위를 찾아내거나 실제 지도를 그리는 수행 활동을 통해 지도 요소의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 중심지 이해에 대한 평가의 경우 지도에서 여러 중심지의 위치를 파악하고 기능 및
경관의 차이를 찾아보도록 하거나 중심지 답사 활동 보고서 작성과 같은 수행 평가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필 평가에서도 글 자료보다는 지도, 사진 등의 시각 및
공간 자료를 제시하고 그 특징이나 의미를 찾아내도록 한다.
② 유의 사항
• 중심지 답사 활동 시 안전사고에 특히 유의하며, 평소 익숙했던 것들에도 관심을 가
지고 관찰하고 그것에서 의미를 찾아내도록 유도함으로써 창의적 사고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구안한다.
• 지도의 기본 요소 학습이나 중심지 특성 학습에 대한 평가에서는 실제 지도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한다.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4사 03- 03]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
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4사 03- 04] 우리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
을 갖는다.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