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ele_society_6-2_tutor
P. 12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1 성격 사회과는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혀 이를 토대로 사회 현상을 정
확하게 인식하고,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님으로써 민주 시민
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교과이다.
사회과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민주 시민은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지식의 습득을 바탕으로 인권 존중, 관용과 타협의 정신, 사회 정의의 실현, 공
동체 의식, 참여와 책임 의식 등의 민주적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고, 나아가 개인적, 사회
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개인의 발전은 물론, 사회, 국가, 인류의 발
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이다.
사회과는 지리, 역사 및 제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 사회 제도와 문화, 사회 문제와 가
치, 그리고 연구 방법과 절차 등에 관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선정, 조직하여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도록 한다. 또 사회과는 우리 삶의 터전인 지역의 이해를 기
초로, 우리 민족의 역사, 우리 국토와 환경, 한국 사회 제도의 현실과 변화, 지구촌의 특
징과 변화 등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
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회과는 민주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사고력, 비
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등의
교과 역량을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창의적 사고력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비판적 사고력
사태를 분석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자신의 견해를 분명하게 표현하고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 활용 능력
다양한 자료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해석, 활용,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10 총론